“왜 사람들은 항상 뒤늦게 후회하는 걸까?” 수많은 팬을 거느린 일본의 저명한 심리 카운슬러가 들려주는 그 원인과 긴급처방이 담긴 책. 현재에 불평하고 후회만 하는 현대인들의 고질병에 대해 저자는 “하루에 한 번이라도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라”는 처방을 내린다. 저자는 우리가 행복과 멀게만 여겼던 것들, 그리고 우리가 행복에 대해 알고 있던 법칙도 자기가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하며, 행복해지고 싶다면 하루에 단 5분이라도 좋으니 자신의 마음을 똑바로 마주하라고 제안한다.
목차
프롤로그: 하루 1440분 중 오로지 나만을 위한 시간이 있는가
PART 1 우리가 행복과 멀게만 여겼던 것들 하나. 무의미한 일: 모든 사건은 필연적인 과정이다 둘. 과정: 행복은 동경의 대상일 때 가장 빛난다 셋. 평범함: 일상의 반복 속에 행복이 있다 넷. 불완전: 제로는 가능성의 숫자다 다섯. 고통: 고통이 없다면 행복은 무의미하다 여섯. 부족함: ‘없다’는 것을 당연시 하면 ‘있는’ 것에 만족한다 일곱. 실패: 실패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여덟. 불쾌감: 편리한 생활이 마음의 내성을 약화시킨다 아홉. 스트레스: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단련하는 기회 열. 슬픔: 슬픔 속에도 따스함이 존재한다 열하나. 불행: 불행의 다른 한쪽이 행복이다
PART 2 왜 ‘지금’이 소중한가 하나. 나는 현재에 얼마나 충실한가 둘. 지금 웃지 않으면 죽을 때도 웃을 수 없다 셋. ‘그때 그랬더라면’ 하고 후회하지 않으려면 넷. 한 잔의 물에도 스토리를 느껴라 다섯. 오늘이 내 인생의 마지막 날이라면 여섯. 답은 외부가 아닌 내부에 있다 일곱. 자신의 보폭으로 걷는 사람이 가장 멀리까지 걷는다 열덟. 행복은 우리 곁에 있다 아홉. 평범함이 최고의 비범함이다
PART 3 내 인생이 사흘 뒤에 끝난다면 하나. 상실 이후의 스토리를 그려라 둘. 자기가 들려주고 싶은 스토리를 만들라 셋. 자기만의 고유한 역할을 찾아라 넷. 악역이라도 최선을 다하라 다섯. 나이듦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라 여섯. 죽음을 긍정해야 생이 빛난다 일곱. 살아 있는 동안 고독을 즐겨라 여덟. 죽음은 잠깐의 이별이다 아홉. 매일 웃고 즐겁게 감동하며 충실하게 열. 멋지게 살아온 사람만이 멋지게 죽을 권리가 있다
PART 4 뒤늦게 후회하지 않을 삶의 자세 10가지 하나. 항상 웃는 얼굴을 하라 둘. 좋은 사람을 흉내 내라 셋. 남을 위하는 기쁨을 느껴보라 넷. 눈앞에 있는 사람부터 기쁘게 하라 다섯. 남을 탓하기 전에 자신부터 돌아보라 여섯. 다른 사람을 감동시켜라 일곱. 먼저 손을 내밀어라 여덟. 상대에게 대가를 바라지 마라 아홉. 스스로 자신의 가장 친한 친구가 되어라 열. 자신의 모습 그대로를 받아들여라
에필로그: 내가 만일 인생을 다시 산다면
서가브라우징
(랄프 왈도 에머슨) 성공의 법칙 : 부와 성공을 부르는 자기신뢰의 힘 2024 / 지음: 랄프 왈도 에머슨 ; 옮김: 노윤기 / Fika(피카)
인생을 바꾸는 네가지 선택2014 / 리차드 폴 에반스 지음 ; 권유선 옮김 / 처음북스
인생을 바꾸는 네가지 선택2014 / 리차드 폴 에반스 지음 ; 권유선 옮김 / 처음북스
언제까지나 내성적으로 살겠다 : 내성적인 당신이 변하지 않아도 충분히 행복할 이유2015 / 에비스 요시카즈 지음 ; 강한나 옮김 / 브레인스토어
어때요, 행복한가요? = Are you happy?2017 / 지은이: 알베르트 에스피노사 ; 옮긴이: 원 마리엘라 / 책이있는풍경
어때요, 행복한가요? = Are you happy?2017 / 지은이: 알베르트 에스피노사 ; 옮긴이: 원 마리엘라 / 책이있는풍경
오만가지 생각2017 / 지음: SR / 창조와지식
(뒤늦게 후회하지 않으려면) 하루에 한 번, 마음 돌아보기2011 / 에토 노부유키 지음 ; 박재현 옮김 / 흐름출판
에픽테토스의 인생을 바라보는 지혜 :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2019 / 지음: 에픽테토스 ; 옮김: 키와 블란츠 ; 엮음: 강현규 / 원앤원콘텐츠그룹
에픽테토스의 인생을 바라보는 지혜 :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2019 / 지음: 에픽테토스 ; 옮김: 키와 블란츠 ; 엮음: 강현규 / 원앤원콘텐츠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