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를 정년 퇴임하고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던 서울대 국사학과 정옥자 명예교수가 그동안 발표했던 글들을 모아 출간한 책. 조선 후기 중화사상 연구에 전념해 온 저자는 이 책에서 단순히 역사에 대한 고찰이 아니라 오늘의 문제를 역사적 시각에서 다루어, 과거 역사를 통해 오늘을 반성하고 문제의 해법과 희망을 찾도록 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1장 화이부동(和而不同)을 꿈꾸며 나와 4.19혁명과 한국 현대사 공부의 왕도 교수의 기쁨과 슬픔 우리 학문의 주변성 문제 제국주의 세계 질서와 문화재 약탈 책을 위하여 날씨 이야기만 하라 권력병에 대한 단상 개혁에 대하여 곽악산 맴돌기 과학기술에 대한 역사학자의 관견(管見) 서울대 여교수회에 대한 회상 기업 문화의 필요성 문화 선진국으로 가는 갈림길에서 광화문 현판은 한자로 가족 개념의 뿌리와 가족 의미의 재정립 화이부동(和而不同)을 꿈꾸며
2장 참을 수 없는 역사의 가벼움 3.1절을 맞아 21세기 우리의 지향과 역사 전통 경기도의 빛과 그림자 그리운 한강 - 경강(京江) 금강산에 대한 명상 서원.향교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선비, 한국적 리더십의 전형 역사 드라마의 역사의식 역사 드라마의 위험성 전통적 가치의 추락 현상 조선의 왕릉, 동구릉에 대한 단상 진경 문화(眞景文化)의 전조(前兆) 한류의 역사 문화적 의의 해피 엔딩의 미학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하라 역사와 정체성, 그리고 자부심 정적의 약방문도 믿는 정치 실학이란 무엇인가? 대한 제국에 대한 재조명 참을 수 없는 역사의 가벼움
3장 왜 지금 '정조학'인가? 한국 근현대사 백 년의 도전과 성취 건국 60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우리의 진로 당쟁이란 무엇인가? 월사 이정구와 그의 시대 임지왜란에서 의병 운동이 갖는 역사적 의의 청백리의 현대적 의의 조선 후기 중인 계층의 문예활동 규장각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정조의 신도시 건설 왜 지금 '정조학'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