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천섬연구총서 2권. 덕적도는 경기만의 외곽해역에 위치하는 덕적군도의 주 섬이며, 주위에 46개의 유무인도를 포함하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의 면소재지이다. 덕적군도는 경기만에서 황해로 나아가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으며 황해도, 경기도, 충청도, 인천광역시에 둘러싸여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덕적도의 역사와 그 의미
문헌에 나타난 덕적도의 역사지리 / 서영대
1. 덕적군도 여러 섬들의 다양한 명칭
2. 선사시대의 덕적군도
3. 고대의 덕적군도
4. 고려시대의 덕적군도
5. 조선시대의 덕적군도
조선시대 인천 연안의 수군 체제와 덕적진 / 배성수
1. 조선 전기 인천 연안의 수군 체제
2. 조선 후기 인천 연안의 수군 체제 정비
3. 영종방어영의 설치
4. 덕적진의 설치와 운영
덕적군도의 역사성과 ‘동아지중해’의 시각 / 이희환
1. 해방 후 최초의 덕적군도 학술조사
2. 한반도 해상활동과 삼국통일의 요충, 덕적군도
3. 고려시대 이후 덕적군도의 변화와 현재적 가치
4. ‘동아지중해’와 덕적군도 연구의 새로운 과제
조선시대 덕적도 주민들의 삶 / 임학성
1. 조선시대 덕적도의 수군진 설치와 인구 증가
2. 조선 후기 덕적도 주민들의 생활 모습
제2부 덕적도의 문화와 언어
덕적도의 말 / 한성우
1. 들어가는 말
2. 연속과 도약-중부방언의 하위 방언
3. 단절과 융합-섬과 바닷길이 만든 언어
4. 덕적도 말의 이모저모
5. 나오는 말
덕적도의 민속 / 정연학
1. 농사를 짓다
2. 물고기를 잡다
팔경의 전통과 덕적팔경의 독법 / 이영태
1. 소상팔경과 팔경
2. 인천팔경의 제 양상
3. 덕적팔경의 독법
4. 남는 문제
덕적도의 종교 전래와 수용 / 최인숙
1. 문향에서 도향으로 변모한 덕적도
2. 교육선교를 통한 감리교 전파
3. 강화도 ‘한 일 자’ 돌림운동과 감리교 덕적구역
4. 덕적도의 천주교 전파
5. 맺음말
섬사람 최분도 신부 / 이세기
1. 섬으로 온 이방인
2. 섬마을의 구원자
3. 자립 공동체의 실천
4. 중국인 이주민과 인혁당
제3부 덕적도의 자연과 지리
덕적도의 해양 특성 / 최중기
1. 일반 도서 현황
2. 덕적도의 해양수괴 특성
3. 덕적도의 해안지형과 사구식생 특성
4. 덕적도의 해양수질 환경
5. 덕적도의 해양생태
6. 수산생물 및 어업
덕적도의 지형과 지질 / 김기룡
1. 덕적도의 지형
2. 덕적도의 지질
3. 덕적도 화강암류의 절대연령
덕적도의 식물상 / 송홍선
1. 서언-조사 배경 및 목적
2. 조사 지역 및 방법
3. 조사 결과
4. 결론-요약 및 제언
덕적도의 조류 / 김대환
1. 덕적도의 자연, 지리적 환경
2. 교동도의 조류-현지 조사
3. 덕적도 에코아일랜드 사업과 문제점
4. 고찰
덕적도의 마을과 지명 유래 / 이덕선 · 임선숙
1. 덕적도
2. 마을 이름과 지명 유래
제4부 덕적도의 오늘과 섬주민 생활사
덕적도의 생태 르포 / 장정구
1. 모래와 소나무의 섬, 덕적도
2.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학교
3. 아 ~ 옛날이여, 서포리해수욕장
4. 해사채취 그 이후 덕적도는?
5. 모래는 돈이다! 약탈당하는 바다 모래, 갈등하는 지역주민
6. 신선의 세계, 선갑도
덕적주민의 굴업도 핵폐기장 반대운동 / 조강희
1. 정부의 핵폐기장 부지 원칙 수정
2. 갑자기 알려진 소식
3. 반대투쟁위 결성
4. 경찰과의 첫 충돌
5. 인천시민사회로 확산
6. 항의농성과 집회
7. 유월 이십칠일 지방선거
8. 굴업도 활성 단층 발견
9. 철회 이후
덕적도 서포리해수욕장에서 한 세월 / 김경은
1. 딸 넷과 헤쳐나온 생애
2. 선장의 생활과 가정
3. 1970, 80년대 피서지 서포리해수욕장의 민박
4. 모래가 많던 서포리 풍경
5. 현재의 서포리해수욕장
덕적도 좌담회: 덕적도의 어제와 오늘을 말하다
1. 덕적도라는 섬의 의미
2. 출향인의 모임 덕우회
3. 최분도 신부와 덕적도 섬개혁운동
4. 북리향 전성시대
5. 서포리해수욕장의 전성기
6. 굴업도 핵폐기장 반대 투쟁과 시련
7. 선갑도 채석장 단지 조성
8. 지속가능한 섬을 위하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