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후기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에 수용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양 삼국의 도검무예의 수용, 정비, 보급 과정의 실체를 규명한다. 이를 통해 한.중.일 도검무예의 기법과 무인 선발 내용을 토대로 실제로 시행한 도검무예가 무엇인지를 찾고자 한다.
목차
서문
들어가며
제1장/ 임진왜란 이후 도검무예의 수용과 추이
1절 임진왜란 이전 도검의 역할
1. 전술체계와 단병무예
2. 근접전 전투방식에서 도검의 역할
2절 임진왜란 중 도검무예의 도입과 수용
1. 단병전술과 도검무예 도입
2. 『무예제보』 편찬과 도검무예 수용
3절 17세기 이후 도검무예 추이와 변화
1. 『무예제보번역속집』의 도검무예
2. 김체건과 왜검의 추이
제2장/ 18세기 도검무예의 정비와 실제
1절 『무예도보통지』 편찬과 도검무예 정비
1. 『무예도보통지』 24기 구성과 내용
2. 도검무예의 ‘세(勢)’
2절 도검무예의 실제
1. 쌍수도
2. 예도
3. 왜검
4. 왜검교전
5. 제독검
6. 본국검
7. 쌍검
8. 월도
9. 협도
10. 등패
제3절 도검무예에 나타난 기법의 특징
제3장/ 18세기 이후 도검무예 보급과 실태
1절 도검무예 관련 시취규정
1. 『대전통편』의 도검무예
2. 『만기요람』의 도검무예
2절 도검무예 관련 군영등록
1. 『어영청중순등록』의 도검무예
2. 『장용영고사』의 도검무예
3절 도검무예의 특성과 의의
마치며
참고문헌
미주
도판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