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며 수면 위로 드러났던 형제복지원 사건 피해생존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책이다. ‘한국판 아우슈비츠’라고 불리는 형제복지원은 원장 박인근을 비롯한 개인의 악마성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
목차
들어가는 말 | 온 마음을 다해 귀를 기울여주길
1부 숫자에 갇힌 시간 잃어버린 13년, 그게 내 인생의 전부예요 / 박경보 구술·홍은전 기록 가난하고 힘없고 누추한 사람들은 다 제거 대상이었는가 / 김희곤 구술·박희정 기록 내 인생의 비어버린 시간들, 형제복지원 / 하안녕 구술·이묘랑 기록 반평생을 시설에서 살았습니다. 듣고 계십니껴? / 황송환 구술·유해정 기록 27년 만에 손잡으니까 좋데요 / 이상명 구술·명숙 기록
2부 시간을 찾는 사람들 서류철 하나에 집약된 인생 / 김영덕 구술·서중원 기록 다 내 탓이라고 자책하며 살았어요 / 김철웅 구술·유해정 기록 평생 아버지를 용서하려고 노력했어요 / 이향직 구술·홍은전 기록 묻어놓고 살면 뭐가 잘못된 건지도 모르고 살아요 / 최승우 구술·이묘랑 기록 혼자 살 수 없는 이 삶 자체가 어디서 왔나 / 홍두표 구술·박희정 기록 동생한테 늘 미안했어요 / 이혜율 구술·명숙 기록
부록 여전히 지옥 속에 사는 생존자들, 형제복지원 특별법을 제정하라 / 조영선[변호사·형제복지원 대책위 집행위원장] 국가에 의해 버려졌던 삶, 사람에서 짐승으로, 짐승에서 사람으로 다시 돌아가려 합니다 / 헝제복지원 피해생존자모임 형제복지원 연혁 글쓴이 소개
서가브라우징
인권변론 한 시대 : 홍성우 변호사의 증언2011 / 한인섭 대담 / 경인문화사
재심·시효·인권 : 국가기관의 인권침해에 대한 법적 구제방안2007 / 한인섭 편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기획 / 景仁文化社
살아 남은 아이 : 우리는 어떻게 공모자가 되었나?2012 / 지은이: 한종선, 전규찬, 박래군 / 문주
살아 남은 아이 : 우리는 어떻게 공모자가 되었나?2012 / 지은이: 한종선, 전규찬, 박래군 / 문주
인민의 천국에서 벌어지는 인권유린 : 북한의 인권2012 / 허만호 지음 / 살림출판사
인권의 발명2009 / 린 헌트 지음 ; 전진성 옮김 / 돌베개
인권의 발명2009 / 린 헌트 지음 ; 전진성 옮김 / 돌베개
숫자가 된 사람들 : 형제복지원 피해생존자 구술기록집2015 / 지음: 형제복지원구술프로젝트팀 / 오월의봄
휴먼 필 = Human feel: 인권감수성을 깨우는 54개의 공감2012 / 공선옥, 그림: 강우근, 조승연, 한은옥 [외] 지음 / 삶이보이는창
한 단어 사전, 인권(人權)2013 / 히구치 요이치 지음 ; 송석원 옮김 / 푸른역사
한 단어 사전, 인권(人權)2013 / 히구치 요이치 지음 ; 송석원 옮김 / 푸른역사
소란스러운 동거 : 장애와 비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이'의 이야기 2022 / 지은이: 박은영 / IVP(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기록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 : 인권위 상임위원 3년의 기록 2023 / 지음: 박찬운 / 혜윰터
어떤 호소의 말들 : 인권위 조사관이 만난 사건 너머의 이야기 2022 / 지음: 최은숙 / 창비
어떤 호소의 말들 : 인권위 조사관이 만난 사건 너머의 이야기 2022 / 지음: 최은숙 / 창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