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폭하는 속물 : 혁명과 쿠데타 이후의 문학과 젊음
발행연도 - 2018 / 지음: 복도훈 / 도서출판b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415282
-
ISBN
9791187036319
-
형태
380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책소개
‘젊음’이 의미 있는 상징으로 출현한 1960년대 한국의 교양소설을 다룬 책으로, 당시 젊은이들이 무엇을 고민하고 어떻게 살아갔는지를 치밀하게 추적하면서 이들 ‘청년 서사’에 나타나고 있는 정치사회적 현실의 의미를 반추하고 있다.
목차
1. 젊음, 교양, 소설
1. 젊음과 교양
2. 교양과 교양소설
2. 길 떠나는 젊음의 이야기
1. 혁명과 쿠데타, 발전과 젊음의 변증법
2. 1960년대 문학의 ‘정치적 무의식’과 젊음
3.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의 특징과 유형
3. 교양의 비판과 구축
1. 비판적 소설로서의 교양소설
2. 어느 젊은 자코뱅주의자의 중립국행: 최인훈, 『광장』읽기
3. 드라큘라의 독립선언: 최인훈의 『회색인』읽기
4. 자기세계와 자기기만
1. 아이러니 소설로서의 교양소설
2. ‘정신적 동물의 왕국’에서 문학하기: 김승옥의 『환상수첩』읽기
3. ‘그게 세상의 이치’: 김승옥의 『내가 훔친 여름』읽기
5. 속물주의와 진정성
1. 아나토미와 피카레스크 소설로서의 교양소설
2. ‘미스터 속물’의 어느 하루: 박태순의 『형성』읽기
3. 돈키호테가 보낸 엿새의 서울: 박태순의 『낮에 나온 반달』읽기
6. 자기와 공동체의 정체성 형성
1. 자기형성 소설로서의 교양소설
2. 장남들의 축제: 김원일의 『어둠의 축제』 읽기
3.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이동하의 『우울한 귀향』읽기
7. 성장 없는 젊음
|보론| 비정한 젊음의 끝. 1960년대 홍성원의 소설과 젊음
1. 소설공장 홍성원
2. 무궤도의 젊음과 피카레스크 소설
3. 희망 없는 젊음의 탈출
4. 대결과 패배의 미학
5. 젊음과 섹슈얼리티
6. 비정한 젊음
참고 문헌
지은이 후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