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박태원의 삶과 문학을 다룬 책. 제1부 '박태원은 과연 모더니스트였는가', 제2부 '박태원은 왜 역사소설에 몰두했는가', 제3부 '박태원은 양가성.혼종성의 저항을 했는가', 제4부 '북한문학사에서 박태원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로 구성되었다.
목차
■ 책머리에 / v
제1부 박태원은 과연 모더니스트였는가
탈식민주의 담론을 통해본 지용과 구보문학의 존재방식
1. 머리말
2. ‘흉내 내기’로서의 모더니즘과 그 미학적 가치
3. ‘따라 하기’와 ‘구별 짓기’의 모순성 각성
4. ‘하위주체의 말 걸기’로서의 대안 모색과 한계
5. 맺음말
기호학적 담론을 통해 본 정지용․이상․박태원의 상관관계__43
1. 머리말
2. 구인회, 모더니즘 및 근대적 자아의 형성
3. 짐멜의 담론과 퍼스 기호학의 관점에서 풀어본 미적 체계
4. 맺음말
제2부 박태원은 왜 역사소설에 몰두했는가
고전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의 기호학적 비교 연구
1. 머리말
2. 구보의 해방기 역사서사의 창작배경
3. 고전 「홍길동전」과 구보의 「홍길동전」의 변별성
5. 맺음말
해방 후 박태원 역사소설 연구
1. 머리말
2. 제국주의와 역사적 이데올로기 그리고 해체담론
3. 해방 전후 역사소설의 창작동인과 구보의 역사관
4. 주변부 관찰을 통한 해체주의적 시각
5. 맺음말
박태원의 임진조국전쟁과 김훈의 칼의 노래 비교 연구
1. 머리말
2. 작가 박태원과 김훈의 세계관
3. 퍼스의 담론을 통해서 본 임진조국전쟁․칼의 노래
4. 맺음말
제3부 박태원은 양가성․혼종성의 저항을 했는가
불안한 관찰과 불온한 전망
1. 머리말
2. 불안한 관찰의 서사
3. 불온한 전망의 서사
4. 맺음말
제4부 북한문학사에서 박태원은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북한문학사에서의 박태원문학의 위상과 좌표
1. 머리말
2. 북한의 조선문학사에서의 변별적 특성
3. 당대 및 남북한 문학사에서의 구보문학의 평가
4. 조선문학사에서의 박태원의 위상
5. 맺음말
❂ 박태원 작품 연보
❂ 구보 박태원의 생애와 연보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