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고려대 구어 연구 총서 1권. 20세기 초를 포함한 근대 전환기의 한국어에 대하여 한국어학계는 그 동안 너무나 관심과 조명이 적었다. 정치나 사회, 문화 등에서 격변기였던 20세기 초에는 그만큼이나 우리말에서도 변화가 많아, 이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한국어사에서 20세기 초 한국어의 위상과 문법 특징
1. 머리말
2. 현대 한국어의 설정과 20세기 초
3. 20세기 초 한국어 문법의 언어사적 경향성
4. 마무리
구어 연구와 운율: 소리를 담은 의미·통사론, 의미를 담은 음성학·음운론 연구를 위한 제언
1. 구어와 문어, 그리고 운율
2. 구어 운율 단위의 길이,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
3. 구어의 운율 구조와 속담의 운율 구조
4. 부정문의 중의성과 중의성 해소 전략, 그리고 부정 표현의 비대칭성
5. 운율적 측면을 고려한 언어 연구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국어의 문법적 특징
1. 머리말
2.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
3.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
4. 마무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고찰
1. 머리말
2.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현황
3.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 분류
4.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별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문어 텍스트의 활용 문제
1. 머리말
2. 구어와 문어, 구어체와 문어체
3. 구어 연구에 활용 가능한 문어 텍스트
4. 신문 만화와 집담회 자료로 구어적 특성 분석
5. 마무리
구어에 나타난 운율적 실현의 문법적 해석
1. 머리말
2. 기존 구어 연구의 한계와 구어 연구의 방법론
3. 운율적 실현의 특징
4. 문법 기술에서 운율적 실현의 해석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종결형 양상
1. 머리말
2. 연구 방법
3.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종결형의 계량적 특성
4. 20세기 전기 구어의 종결형 양상 및 특징
5. 마무리
현대국어 초기 구어체의 실현과 문학적 수용
1. 머리말
2. 현대국어 구어의 형성
3. 언문일치 운동과 구어체 실현
4. 문학 작품에서의 구어체 수용
5. 마무리
근대 전환기 개화 지식인의 ‘국문/언문’에 대한 인식과 구어체 글의 형성
1. 머리말
2. 한글 표기와 구어체 글의 역사성
3. 근대 전환기 지식인의 ‘국문/언문’ 인식과 구어체
4.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의 격조사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
1. 머리말
2. 격조사 사용 양상의 계량적 분석
3. 20세기 전기 구어의 격조사 실현의 특징
4. 20세기 전기 구어의 격조사 비실현의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국어의 보조사 연구
1. 머리말
2. 보조사의 계량적 현황
3. 조사 결합형의 계량적 현황
4. 20세기 전기 보조사의 특징: ‘요, 야’를 중심으로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실현 양상
1. 머리말
2. 연구 자료
3. 20세기 전기 구어의 정도부사
4.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자료 유형별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음성 자료에서 나타나는 체언 말 자음의 교체 현상
1. 머리말
2. 연구 자료
3. 체언 말 자음의 교체에 관한 계량적 분석
4. 20세기 현대국어에서 말 자음의 교체 양상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모음상승 연구
1. 머리말
2.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3.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모음상승의 특징
4.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