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 현대 한국어 구어의 형성과 변천. 1
  • 현대 한국어 구어의 형성과 변천. 1

    발행연도 - 2016 / 지음: 홍종선 ; 신지영 ; 도원영 ; 유혜원 ; 오재혁 ; 장혜진 ; 송인성 ; 신우봉 / 한국문화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78850
    • ISBN 9788968174162
    • 형태 418 p. 25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한국어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기호/논리/언어학 > 국어학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고려대 구어 연구 총서 1권. 20세기 초를 포함한 근대 전환기의 한국어에 대하여 한국어학계는 그 동안 너무나 관심과 조명이 적었다. 정치나 사회, 문화 등에서 격변기였던 20세기 초에는 그만큼이나 우리말에서도 변화가 많아, 이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서문

한국어사에서 20세기 초 한국어의 위상과 문법 특징
1. 머리말
2. 현대 한국어의 설정과 20세기 초
3. 20세기 초 한국어 문법의 언어사적 경향성
4. 마무리

구어 연구와 운율: 소리를 담은 의미·통사론, 의미를 담은 음성학·음운론 연구를 위한 제언
1. 구어와 문어, 그리고 운율
2. 구어 운율 단위의 길이,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
3. 구어의 운율 구조와 속담의 운율 구조
4. 부정문의 중의성과 중의성 해소 전략, 그리고 부정 표현의 비대칭성
5. 운율적 측면을 고려한 언어 연구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국어의 문법적 특징
1. 머리말
2.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
3.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
4. 마무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고찰
1. 머리말
2.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현황
3.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 분류
4.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별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문어 텍스트의 활용 문제
1. 머리말
2. 구어와 문어, 구어체와 문어체
3. 구어 연구에 활용 가능한 문어 텍스트
4. 신문 만화와 집담회 자료로 구어적 특성 분석
5. 마무리

구어에 나타난 운율적 실현의 문법적 해석
1. 머리말
2. 기존 구어 연구의 한계와 구어 연구의 방법론
3. 운율적 실현의 특징
4. 문법 기술에서 운율적 실현의 해석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종결형 양상
1. 머리말
2. 연구 방법
3.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종결형의 계량적 특성
4. 20세기 전기 구어의 종결형 양상 및 특징
5. 마무리

현대국어 초기 구어체의 실현과 문학적 수용
1. 머리말
2. 현대국어 구어의 형성
3. 언문일치 운동과 구어체 실현
4. 문학 작품에서의 구어체 수용
5. 마무리

근대 전환기 개화 지식인의 ‘국문/언문’에 대한 인식과 구어체 글의 형성
1. 머리말
2. 한글 표기와 구어체 글의 역사성
3. 근대 전환기 지식인의 ‘국문/언문’ 인식과 구어체
4.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의 격조사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
1. 머리말
2. 격조사 사용 양상의 계량적 분석
3. 20세기 전기 구어의 격조사 실현의 특징
4. 20세기 전기 구어의 격조사 비실현의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국어의 보조사 연구
1. 머리말
2. 보조사의 계량적 현황
3. 조사 결합형의 계량적 현황
4. 20세기 전기 보조사의 특징: ‘요, 야’를 중심으로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실현 양상
1. 머리말
2. 연구 자료
3. 20세기 전기 구어의 정도부사
4.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자료 유형별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음성 자료에서 나타나는 체언 말 자음의 교체 현상
1. 머리말
2. 연구 자료
3. 체언 말 자음의 교체에 관한 계량적 분석
4. 20세기 현대국어에서 말 자음의 교체 양상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모음상승 연구
1. 머리말
2.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3.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모음상승의 특징
4. 마무리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2016 / 지음:최경봉 / 일조각
근대국어연구 근대국어연구 2023 / 지음: 홍윤표 / 태학사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 2014 / 강진호 외 지음 / 경진출판
언어적 근대의 기획  = (The) project of linguistic modernity  : 주시경과 그의 시대 언어적 근대의 기획 = (The) project of linguistic modernity : 주시경과 그의 시대 2013 / 지은이: 김병문 / 소명출판
식민지 조선의 언어 지배 구조  : 조선어 규범화 문제를 중심으로  = (The) dominance of language in colonial Korea : regulation policies for the Korean language 식민지 조선의 언어 지배 구조 : 조선어 규범화 문제를 중심으로 = (The) dominance of language in colonial Korea : regulation policies for the Korean language 2013 / 미쓰이 다카시 지음 ; 임경화 ; 고영진 옮김 / 소명출판
근대 한국의 언어 문제 근대 한국의 언어 문제 2020 / 지은이: 안예리 / 역락
高等小學讀本. 7 高等小學讀本. 7 2022 / [편: 일본 문부성] ; 옮김: 박효경, 성윤아, 권희주, 이현진 / 경진출판
현대 한국어 구어의 형성과 변천. 1 현대 한국어 구어의 형성과 변천. 1 2016 / 지음: 홍종선 ; 신지영 ; 도원영 ; 유혜원 ; 오재혁 ; 장혜진 ; 송인성 ; 신우봉 / 한국문화사
고등소학독본 고등소학독본 2012 / 휘문의숙 편집부 편찬 ; 김찬기 편역 / 경진
21세기 한국어정책과 국가경쟁력 21세기 한국어정책과 국가경쟁력 2011 / 김희숙 지음 / 소통
그 나라의 역사와 말 그 나라의 역사와 말 2002 / 백승종 저 / 궁리
주시경 선생 전기  = A biography of Ju Si-Gyeong 주시경 선생 전기 = A biography of Ju Si-Gyeong 2016 / 엮음: 김윤경 / 열화당 영혼도서관
외솔 최현배 평전  : 우리말 지킴이 외솔 최현배 평전 : 우리말 지킴이 2018 / 지음: 김삼웅 / 채륜
(우리 말글을 목숨처럼 지킨) 최현배 (우리 말글을 목숨처럼 지킨) 최현배 2019 / 지음: 이계형 / 역사공간
(주해) 유몽천자 (주해) 유몽천자 2018 / 저술: 게일 ; 주해: 허재영 / 경진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문화어 수업: 다음 세대를 위한 요즘 북한 말, 북한 삶 안내서 문화어 수업: 다음 세대를 위한 요즘 북한 말, 북한 삶 안내서 2019 / 한성우, 설송아 지음 / 어크로스
(공부도 인생도) 국어에 답 있다 : 허철구 교수의 국어 에세이 (공부도 인생도) 국어에 답 있다 : 허철구 교수의 국어 에세이 2018 / 지은이: 허철구 / 알투스
한글마스터 = Hangeul master 한글마스터 = Hangeul master 2014 / written and designed by Talk To Me In Korean ; 선윤아 디자인 ; 장성원 삽화 / 롱테일북스
한국인의 文字생활 한국인의 文字생활 2013 / 沈在箕 著 / 語文政策正常化推進會
(보리국어사전을 편찬한 윤구병 선생님의)내 생애 첫 우리말 (보리국어사전을 편찬한 윤구병 선생님의)내 생애 첫 우리말 2016 / 지음: 윤구병 / 천년의상상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2004 / 남영신 지음 / 리수
한국어교육과 양태표현 한국어교육과 양태표현 2013 / 안주호 저 / 한국문화사
도사리와 말모이, 우리말의 모든 것 도사리와 말모이, 우리말의 모든 것 2010 / 지음: 장승욱 / 하늘연못
(우리말, 지친 어깨를)토닥이다 (우리말, 지친 어깨를)토닥이다 2014 / 조현용 지음 / 하우
(알토란)한국어 어휘 : 중·고급 : 한국어능력시험Ⅱ(TOPIK Ⅱ)완벽대비와 유창한 한국어 구사를 위한 필독서 (알토란)한국어 어휘 : 중·고급 : 한국어능력시험Ⅱ(TOPIK Ⅱ)완벽대비와 유창한 한국어 구사를 위한 필독서 2015 / 최권진, 송경옥 [공저] / 소통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 한국어 문화언어학 강의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 한국어 문화언어학 강의 2017 / 씀: 조현용 / 하우
한국어가 사라진다면 한국어가 사라진다면 2003 / 시정곤 등저 / 한겨레신문사
한글박물관  : 글누리의 모음 한글박물관 : 글누리의 모음 2011 / 박창원 지음 / BM성안당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2016 / 지음:최경봉 / 일조각
한국의 언어민속지. 1, 서편 한국의 언어민속지. 1, 서편 2009 / 왕한석 지음 / 교문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