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릿글
1부 언어화 이전의 언어 산출 관련 요소
1장 생각의 재료와 기억
1. 감각 재료 및 추상 재료
2. 기억의 분류
3. 기억의 신경생리학: 환원주의와 통합주의의 갈등
2장 개념과 명제와 언어
1. 생각 또는 사고 단위
2. 언어 단위로서 ‘절(clause)’ 또는 명제
3. 명제를 투영하는 동사의 분류: 우리말 감각동사·감정동사·교감 묘사동사의 사례
3장 마음의 갈래 및 작동에 관련된 논의
1. 성리학에서 다루었던 마음
2. 심리철학에서의 의식 및 심신 인과 문제
3. 논리화 과정의 완벽성 대 겸손한 회의주의
2부 언어화되기 전의 결정 과정
4장 의사소통 의도, 결정 과정, 상위 의도
1. 의사소통 의도 및 그 추정과 확인
2. 상황 판단과 의도의 결정 과정
3. 의도의 수정과 전략적인 상위 의도
5장 공통기반과 정보간격과 상호조율
1. 믿음체계, 공유된 공통기반, 정보간격의 가늠
2. 상호조율의 문제
3. 조율 상의 간격과 극복
3부 언어화 과정 및 되점검 방식
6장 의사소통 갈래와 서술관점의 수립
1. 의사소통의 갈래(또는 범주)
2. 서술관점의 수립
3. 구성과 해석을 이끌어 가는 심층 틀
7장 청자 반응의 점검과 주제 전개의 전략
1. 청자 반응의 점검
2. 주제 전개의 전략
3. 입말 산출과 글말 산출의 차이
4부 언어 산출과 관련된 분야
8장 언어 심리학에서의 논의
9장 일상언어 철학에서의 논의
10장 미시사회학에서의 논의
11장 언어학, 언어교육, 글쓰기에서의 논의
1. 언어학에서의 논의
2. 언어교육과 글쓰기 분야에서의 논의
5부 마무리
부록
부록 1: 두뇌ㆍ기억ㆍ언어
들머리
1장. 세 겹 두뇌의 진화
2장. 기억의 신경생리학: 환원주의와 통합주의의 갈등
3장. 인간이 이용하는 기억의 분류
4장. 생각 또는 정신작용의 기본 재료: 감각 재료 및 추상 재료4
5장. 언어의 작동방식, 그리고 기호학적 접근
6장. 개념과 명제와 언어의 관계
7장. 언어가 작동하는 실례: 보편 언어와 개별 언어
8장. 언어, 사회 관계, 비판적 담화 분석
부록 2: 언어의 산출과 이해에 대한 ‘다중 처리’ 모형
1. 들머리
2. 정신작동 요소와 다중기억 모형
3. 생각의 단위와 작동방식
4. 입말 산출 과정: 르펠트 모형
5. 덩잇글 이해 과정: 킨취의 구성-통합 모형
6. 과제 연속물을 이용하는 담화교육
7. 마무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