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북한이 외교수단으로서 군사력을 어떻게 사용해왔고, 그 결과 정책목표를 달성하는 데 얼마나 성공 혹은 실패를 했는지, 그리고 북한이 이루고자 한 정책목표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역사적 흐름에 따라 밝히고자 한다.
목차
서장 북한의 벼랑 끝 외교 읽기
1. 벼랑 끝 외교의 특징
2. 연구 방법 및 책의 구성
제1장 벼랑 끝 외교의 전개
1. 벼랑 끝 외교의 기원: 1966~1972년
2. 제한적인 무력 사용: 1973~1982년
3. 테러리즘의 대두: 1983~1992년
4. 정교해진 벼랑 끝 외교: 1993~2008년
제2장 비무장지대에서의 공방: 1966~1968년
1. 공격과 반격, 그리고 한미 관계의 긴장
2. 환경요인 분석
3. 군사 및 외교행동의 특징
4. 정책목표와 그 달성도
5. 벼랑 끝 외교로 인한 중장기적 역효과
제3장 푸에블로호 사건: 1968년
1. 푸에블로호 나포와 북미 직접 협상
2. 환경요인 분석
3. 군사 및 외교행동의 특징
4. 정책목표와 그 달성도
제4장 서해사건: 1973~1976년
1. 해공에서의 공세와 평화협정 제안
2. 환경요인 분석
3. 군사 및 외교행동의 특징
4. 정책목표와 그 달성도
5. 벼랑 끝 외교로 인한 중장기적 역효과
제5장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1976년
1. 미루나무 가지치기, 도끼살해 사건, 폴 버니언 작전
2. 환경요인 분석
3. 군사 및 외교행동의 특징
4. 정책목표와 그 달성도
제6장 제1차 핵 외교: 1993~1994년
1. 핵 개발, 위기 그리고 제네바 합의
2. 환경요인 분석
3. 군사 및 외교행동의 특징
4. 정책목표와 그 달성도
제7장 미사일 외교: 1998~2000년
1. 미사일 수출, 발사실험, 북미 미사일 회담
2. 환경요인 분석
3. 군사 및 외교행동의 특징
4. 정책목표와 그 달성도
5. 벼랑 끝 외교로 인한 중장기적 역효과
제8장 정전체제 무효화 공작: 1993~2002년
1. 정전체제 무효화를 겨낭한 군사·외교적 공세
2. 환경요인 분석
3. 군사 및 외교행동의 특징
4. 정책목표와 그 달성도
5. 벼랑 끝 외교로 인한 중장기적 역효과
제9장 제2차 핵 외교: 2002~2008년
1. 제2차 핵 외교의 전개
2. 환경요인 분석
3. 군사 및 외교행동의 특징
4. 정책목표와 그 달성도
5. 벼랑 끝 외교로 인한 중장기적 역효과
종장 벼랑 끝 외교의 효과와 한계
1. 벼랑 끝 외교의 목적 및 군사행동
2. 군사균형 및 북한의 행동양식
3. 벼랑 끝 외교의 특징
보론 김정은 시대의 벼랑 끝 외교: 2009년~현재
1. 사이비 ‘벼랑 끝 외교’: 2009~2010년
2. 새로운 벼랑 끝 외교의 개막: 2012년 이후
맺음말
옮긴이의 말
참고자료
인터뷰 대상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