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지속가능 발전의 지구촌사회
1. 환경문제
2. 식량문제
3. 에너지 문제
4. 수자원 위기
5. 인구문제
6. 남북문제
7. 세계화의 명암
8. 종교, 인종, 소수민족문제
9. 테러문제
10. 군축문제
11. AIDS 및 마약문제
12. 동서문제
제2장 국제정치체제의 전환
1. 양극체제의 형성과 특징
2. 양극체제의 와해
3. 긴장완화체제
제3장 한반도 분단과 남북한 관계의 전개
1. 냉전과 한반도
2. 남북한 관계의 전개
3. 역대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과 교류협력
4. 남북 교류협력의 분야별 현황
제4장 동북아 질서 변환과 탈냉전 국제사회
1. 다극체제의 형성과 전개
2. 탈냉전체제의 형성과 동북아 국제질서
3. 탈냉전기 동북아 질서의 특징
4. 동아시아의 새로운 안보질서: 비관론자 낙관론
5. 탈냉전시대 안보질서의 변환과정
제5장 북한 핵개발과 6자회담
1. 북한의 핵개발 배경
2. 국제정치와 핵무기
3. 북핵 관련 6자회담 합의 요지
4. 북핵 시설 불능화 중단과 6자회담 불참 선언
5. 안보리 결의 2087호 채택과 대북 제재
제6장 한국의 평화공존 지향 외교
1. 강대국 외교의 특징
2. 한국과 강대국 외교관계
제7장 세계화와 한국
1. 세계화: 불가역성
2. 세계화의 요인들
3. 세계화의 반향
제8장 한국과 FTA
1. 지역주의의 형성과 특징
2. 세계무역질서의 변환
3. 한국의 FTA 체결 추세
4. FTA의 긍정적·부정적 효과
5. 한국 정부의 FTA 정책과 문제점
제9장 세계 각국의 자원외교정책
1. 에너지 자원의 중요성
2. 자원외교 환경 변화와 정책적 함의
3. 주요국의 자원외교 전략과 특징
4. 한국의 자원외교
제10장 소프트파워, 하드파워, 스마트파워
1. 파워란 무엇인가?
2. 미국의 파워
3. 미국 소프트파워의 원천
4. 각국의 소프트파워
5. 한국의 소프트파워와 스마트파워
제11장 리더십과 국가발전
1. 지도자의 중요성
2. 리더십 개념
3. 지도자의 일반적 덕목
4. 서양인 리더십
5. 중국인 리더십
6. 일본인 리더십
7. 한국인 리더십
8. 북한의 리더십
9. 세계의 여성 지도자들
제12장 한국형 발전모델의 정립
1. 스티브 잡스(Steve Jobs)스토리
2. 빌 게이츠(Bill Gates)스토리
3. 한국의 플랫폼전략
4. 최근 한국경제 동향
제13장 한국의 지향가치와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