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장 신한류 문화형성의 키워드
1. 문화연구, 정체성의 정치
2. 민족성/다문화주의/혼종성
3.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대중문화
4. 전 지구화(globalization)와 지역화(localization)
2장 신한류 등장의 배경
1. 신한류 형성의 기반: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현된 한류
1) 한국의 대중음악으로 시작된 한류/ 2) 신한류, 기존의 한국대중음악과 거리를 두다/ 3) 글로벌 문화를 꿈꾸는 K-pop
2. 신한류 형성의 동인, 소셜 미디어
1)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미디어 지형의 변화/ 2)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재매개, 탈매개되는 콘텐츠/ 3) 한류문화 교류의 주요 채널, 소셜 미디어
3장 신한류, 글로벌 팬덤
1. 사회적 문화실천 주체로서의 팬덤
2. 한류 팬덤 형성의 시작, 드라마
3. K-pop을 통한 글로벌 팬덤 형성
4장 한류문화에 반영된 국내 생산자·소비자 시선의 변화
1. 국내 방송시장의 해외 콘텐츠 포맷 수입 증가
1) 프로그램 포맷의 의미/ 2) 프로그램 포맷 수입 현황과 국내 방송시장의 변화
2.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콘텐츠 생산자·수용자의 시선 변화
1) 국내 프로그램 장르의 특성 변화/ 2) 국내 프로그램 생산자와 수용자의 시선 변화
3. 한류 문화에서 재현되는 다문화성
1) 국내 미디어 문화에서 재현되는 다문화/ 2) 초국적·혼종적 문화, 한류
5장 K-Pop의 현재
1. 드라마에서 K-pop으로
2.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한류 담론의 특징
3. 담론분석의 이론적 논의
1) 문화영역 담론의 지형도/ 2)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한류문화담론 특징/ 3)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4. K-pop 관련 미디어 사례분석
1) 글로벌화의 지표, K-pop/ 2) 한류 육성을 위한 정책 담론: 국가 경쟁력과 민족주의 강조/ 3) 엔터테이너에게서 재현되는 유연한 민족주의: 한국 경쟁력의 지표, K-pop
5. 현재적 한류를 바라보기
6장 문화이동의 지형학: 글로컬라이제이션
1. 초국적 문화수용으로서의 K-pop
2. 세계성과 지역성의 변증법적 결합
3. 글로컬라이제이션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