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하학 연구 : 중국 고대의 사상적 자유와 백가쟁명
발행연도 - 2013 / 바이시 지음 ; 이임찬 옮김 / 소나무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29046
-
ISBN
9788971393352
-
형태
578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동양철학, 사상
>
중국철학, 사상
-
카테고리분류
인문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책소개
직하학은 매우 중요한 고리로서 전국 중후기 모든 주요 학파와 그 대표 인물들을 거의 망라하며, 또한 진한 이후 학술과 사상의 흐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이와 관련된 분야들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없거나 매우 적었다.
목차
서문 백가쟁명의 근원을 탐구한 역작 / 리션즈李愼之
머리말
제1장 직하학궁 출현의 문화적 배경
1. 정치 경제적 변혁과 사인 계층의 흥기
2. 현사를 예우하는 기풍과 평민 출신 경상의 출현
3. 제자백가 학설의 출현
제2장 직하학궁과 제나라
1. 제나라의 경제·정치·문화
1) 자연 조건과 경제
2) 정치적 요구
3) 문화적 전통
2. 기타 열국에 대한 분석
1) 노나라와 삼진
2) 초나라
3) 진나라
제3장 직하학궁의 성쇠
1. 기원
2. 창립
3. 흥성
4. 쇠락과 중흥 그리고 종결
제4장 직하학궁의 성격과 기능
1. “정치를 담당하지 않고 의론만 하는” 곳
2. 정치적 기능
3. 학술 활동
제5장 직하학 총람
1. 학파, 문헌, 학자
2. 학술 특징
1) 다윈
2) 융합
3) 창조
3. 발전 추세
4. 역사적 지위
제6장 직하학궁의 주류 황로학
1. 직하학궁에서 출현하고 성숙한 황로학
2. 직하 황로학파의 초석을 놓은 『황제사경』
1) 『황제사경』의 조기 출현에 대한 새로운 논증
(1) 기존 논증 방법의 한계
(2) 인성론의 발전과 변화로부터 『황제사경』의 조기 출현을 논증함
(3) 인식론의 발전으로부터 『황제사경』의 조기출현을 논증함
(4) 음양오행 사상의 발전으로부터『황제사경』의 조기출현을 논증함
(5) 제자백가 문헌에 나타난 고대 전설 체계로부터 『황제사경』의 조기출현을 논증함
2) 『황제사경』의 도가 철학 이론
(1) 노자 철학에 대한 계승과 발전
(2) 노자 철학에 대한 지양과 수정
3) 『황제사경』의 법가 정치철학
(1) 법리학
(2) 등급과 명분에 관한 이론
(3) 중민 사상
4) 『황제사경』과 제가백가
(1) 유가 사상과의 관계
(2) 묵가의 영향
(3) 명가의 학설
(4) 음양 사상에 대한 발전
3. 신도와 전병의 학술 비교
제7장 맹자와 직하학
1. 맹자는 직하선생이 아니다
2. 맹자는 『관자』 심기론의 영향을 받았다
1) 몇 가지 관점에 대한 분석
2) 『관자』심기론의 윤리적 경향과 문화적 연원
(1) 『맹자』와 『관자』에 대한 거시적 고찰
(2) 『관자』기론의 윤리적 경향은 공자를 대표로 하는 초기 유가의 영향이다
(3) 『관자』심기론의 문화적 연원
3) 맹자 학설과 『관자』의 심기론
(1) ‘호연지기’와 『관자』의 심기론
(2) ‘존야기’와 『관자』의 심기론
(3) ‘지지 논변’과 『관자』의 심기론
제8장 ‘송윤학파’와 직하학
1. ‘송윤학파’ 질의
(1) 『관자·심술』편 등은 송형과 윤문의 유작이 아니다
(2) ‘송윤학파’ 질의
2. 묵학에 대한 송견의 계승과 발전
3. 명과 법을 강조한 윤문의 황로 사상
제9장 직하 제학의 대표작 『관자』
1. 『관자』의 성서 연대와 작자
2. 『관자』의 황로 사상
1) 도가 철학에 대한 『관자』의 특별한 공헌 - 정기론
2) ‘도법결합’과 ‘이도논법’
3) 인간의 자연 본성에 순응함
4) 예법병용, 민본주의, 도덕적 교화
3. 『관자』의 음양오행 사상
1) 『관자』에 나타난 음양오행 사상의 발전 궤적
2) 「유관」등 4편에 의한 음양과 오행의 결합
3) 『관자』음양오행 결합의 역사적 배경
4) 『관자』음양오행 사상의 역사적 지위
제10장 추연과 직하학
1. 추연의 사상적 전향과 그 학술의 연원
2. 추연 학설의 주요 내용
1) 오행상생 - 「주운」의 사시교령 사상
2) 오행상생 - 「종시」의 역사철학
3) 대소구주설의 지리관
제11장 순자의 직하학 수용과 발전
1. 순자의 인성론과 직하학
2. 예와 법을 결합한 순자의 정치론과 직하학
3. 순자의 천인관계론과 직하학
4. 순자의 인식 방법론과 직하학
맺음말
후기
부록 1 직하학궁 사건 연표
부록 2 직하학자의 대략적인 생졸 연표
주요 참고 문헌
찾아보기 (인명·문헌·사항)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2 |
30대 | 1 |
40대 | 0 |
50대 | 2 |
60대 | 3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4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1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1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