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말
지은이의 말
후기
『순자』편목표
미주
제1장 순자의 생애와 그 시대
1. 격동과 전조 ― 전국시대 말기의 사회
‘천하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읍국가와 ‘봉건’제
읍국가에서 영역국가로
격렬한 사회변동
사
객
제자諸子의 등장
권력자와 사상가
제자란 무엇이었나?
통일을 향한 발걸음
진한 제국
거대한 전환기
2. 전국시대 최후의 유가 ― 순자의 생애
난세에 태어나
성명과 생년
태어난 나라와 연고지
진나라로
유가의 효용에 대한 선전
제나라에서
세와 도
난릉령 시절
‘아름다운 구슬이 있어도’
병兵을 논하다
두 제자
만년과 죽음
『순자』라는 책
문체 속 순자
전국시대 최후의 유가
제2장 순자의 사상 활동
1. 천과 인 ― 자연과 인간
천인지분
자연으로서의 ‘하늘’
인간·사회·자연
종교적 ‘하늘’과의 결별
천인과 성위
인간의 위치
공자·맹자에서 순자로
장자에서 순자로
기술과 자연관
주술과 이성
꾸밈
환각의 배격
빛을 발하는 자연관
2. 인성은 악이다 ― 인간관의 구조
인성 문제
변화하는 삶의 양식
정치의식과 인간론
성설의 출현
맹자의 성선설
장자의 인간관
성악과 선위
물질적 인간 이해
상대적인 선과 악
‘심’의 문제
성―심―위
맹자와의 거리, 장자와의 거리
현실에 대한 대답
3. 예禮의 왕국 ― 국가 구상
왕자王者의 공명
유가의 정치적 태도
순자의 과제
성과 예
군과 분
예의 정치적 기능
예를 만든 선왕
정치는 작위
정책에 관하여
형과 법
유 개념
군주란 무엇인가?
예 왕국의 구상
대답과 허구
4. 욕망과 생산과 정치 ― 경제사상
「화식열전」으로 보는 배경
생산에 대하여
절약론과 과욕론
원초적 아나키즘
자연과 생산과 정치
종縱의 분업론
횡의 분업론
아래가 부유하면 위도 부유하다
경제사상과 인간관
욕망과 예
소비의 질서
독특한 경제사상
5. ‘명’의 영역 ― 언어와 국가
명 바로잡기
명실과 술術
명가의 설
명과 로고스
묵가의 명실론
명의 제정
명의 세 가지 원리
수직적 세계상
명과 분
명실론과 정치 이념
고대 명실론의 집약
언어와 국가
6. 역사를 보는 눈 ― 역사와 자기규정
역사 사상
역사의식의 맹아
‘주나라를 계승한 자’
맹자의 일치일란론
역사의 시작 찾기
얽매이지 않는 눈
선왕과 백왕
후왕이란 무엇인가?
패覇에 관하여
역사관의 다양화 속에서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역사 속의 자기규정
제3장 사상사 속의 순자
1. 이념과 현실 사이 ― 숙명적 허구
궤시
근원적 과제
이념과 현실 그리고 허구
자연관과 권력에 대한 관심
다시 ‘심’ 문제로
주체성과 관념성
숙명적 허구
심의 사상적 계보
유물론적 특징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권학」과 「수신」
유세가의 자각
사와 군
권력으로 기울다
전국시대 유가의 극한
「비십이자」
2. 제자諸子 시대의 종말 ― 순자에서 포스트 순자로
한비와 이사
순자 사상이 향한 한 가지 길
유가의 운명
순자 이후의 순자 학파
후계자들의 궤적
순자 사상이 향한 또 하나의 길
제자들의 퇴장
정통으로서의 유교
새로운 허구
「육가요지」와 『회남자』 「요략」
제자들의 묘표
역사의 역설
집약자이자 종결자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