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편 맹자 정치론의 이해
1. 주공(周公)과 공부자 그리고 맹가(孟軻)
2. 서기전 4세기의 정치상황과 맹가
3. 『맹자장구孟子章句의 저자 조기의 정치적 입지
4. 맹가의 도통적(道統的) 위상과 그 업적
제2편 맹자 정치론의 실제
1. 인의론仁義論 - 인의와 이익의 경계
2. 악론樂論 - 민인民人 통합을 위한 악무의 보급
3. 외교론外交論 - 국가 간 외교의 중요성
4. 화색론貨色論 - 재물과 여색에 대한 담론
5. 당로자론當路者論 - 행정 담당자의 자질 문제
6. 왕패론王覇論 - 왕도王道와 패도覇道의 변별
7. 인화론人和論 - 소통疏通의 미학
8. 정벌론征伐論 - 반역자의 준엄한 처단
9. 치국론治國論 - 멸사봉공滅私奉公의 강조
10. 직분론職分論 - 전공 능력에 따른 역할 담당
11. 치란론治亂論 - 치세와 난세의 교차
12. 천하론天下論 - 중원 중심의 세계인식
13. 양노존현론養老尊賢論 - 노인과 현자의 예우
14. 교자론敎子論 - 자식 교육의 어려움
15. 제자론弟子論 - 문하 제자의 처신
16. 불효론不孝論 - 효도의 진정한 의미
17. 대순론大舜論 - 순임금은 어떤 지도자인가
18. 천자론天子論 - 하늘이 내린 지도자
19. 이윤론伊尹論 - 상商의 개국공신 이윤의 평결
20. 작록록爵祿論 - 관직과 급여에 대한 논의
21. 빙청론聘請論 - 권력자가 현인을 초빙하는 법도
보론
1. 맹가의 약전과 성예세계(聖裔世系)
2. 서기 2세기의 정치 현실과 조기趙岐의「맹자제사해孟子題辭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