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언론이 직면한 문제를 기사의 품질, 한국형 기자제도, 언론의 자기성찰, 언론자유와 법제, 편집과 경영 간의 관계, 다섯 가지로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필자로는 모두 현장과 이론을 두루 잘 아는 훌륭한 저널리스트이자 학자이다.
목차
발간사 / 오태규
머리말 / 이재경
제1장 기사의 품질 / 박재영
새로운 국면, 유료화
기사 품질의 두 요소: ‘무엇’과 ‘어떻게’
미흡했던 ‘어떻게’
기획기사의 품질
기사 완독률: 품질의 또 다른 요소
‘무엇’의 중요성
방송뉴스의 품질
원인
새로운 시도
제언
제2장 한국형 기자제도 -선진화를 위한 성찰과 제언 / 이재경
상자 밖에서 생각하기
사용된 자료의 성격
언론현장에서 제기하는 기자문제
기자제도에 관한 과거논의
한국 기자제도의 주요 문제
한국 기자제도의 특수성 조명 필요
한국형 기자제도의 특성과 변화추이
한국 언론사의 기자채용제도
일본 기자제도
미국 기자제도
비교를 통해 본 한국 기자제도의 과제
한국 기자제도의 개혁방향
품격 있는 기자제도를 위하여
제3장 한국 언론의 자기성찰 -미디어 보도와 미디어 비평 / 김세은
1. 누가 ‘감시견’을 감시할 것인가?
2. 언론의, 언론에 의한, 언론을 위한 감시와 견제
3. 외국 언론의 미디어 보도와 비평
4. 한국 언론의 미디어 보도와 비평: 현황 및 진단
5. 미디어 보도와 미디어 비평에 대한 언론인의 인식
6. 논의와 제언
제4장 한국 언론의 품격과 언론 법제 -언론자유의 본질에 비춰본 한국의 언론 법제의 현실과 개선 방향 / 심석태
1. 들어가는 말
2. 언론자유의 본질에 대한 이해
3. 한국 언론 법제의 특징
4. 한국 언론 법제의 주요 쟁점
5. 맺음말: 품격 있는 언론, 품격 있는 언론 법제를 기대하며
제5장 편집과 경영의 바람직한 관계 / 남시욱
1. 한국 언론에 들이닥친 대변혁의 물결
2. 좋은 언론과 경영의 역할
3. 언론의 품격과 한국 언론의 경영구조
4. 편집인의 권한과 책임
5. 경영주의 권한과 책임
6. 집담회에서 나온 언론인들의 경험담과 상황인식
7. 결론: 바람직한 경영주와 편집진의 관계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