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의 발간 목적은 12개 유라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각국의 체제전환 이후 국가건설의 특성, 전개 과정, 전망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유라시아 국가들이 어떠한 국가건설 경로를 걸었고, 어떠한 국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목차
머리말
총론 유라시아의 체제전환과 국가건설: 이론적 논의와 평가 지수 1. 서론 2. 국가의 개념 정의 3. 국가의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4. 유라시아 국가건설 과정의 경로요인 5. 유라시아 국가에 대한 평가 지수 6. 결론
제1부 러시아 및 동슬라브 제1장 체제전환 이후 러시아의 국가 지배력: 수준과 변화요인 1. 서론 2. 러시아의 국가 지배력 3. 러시아 국가건설의 분절적 경로 4. 결론 제2장 우크라이나의 국가성 모색 1. 서론 2. 국가성의 개념과 우크라이나의 역사적ㆍ문화적 연원 3. 헌정질서 구축과 국가안보 확립 4. 국민적 통합성 형성 5. 결론 제3장 벨라루스의 국가발전 양상: 정치제도화와 대외정책을 중심으로 1. 서론 2. 국가발전과 대통령 중심의 정치제도 3. 선거와 민주화 시위 양상 4. 국가발전과 실리주의 대외정책 5. 맺음말: 벨라루스식 국가발전의 총체적 양상 제4장 몰도바의 체제전환과 국가형성 1. 서론 2. 몰도바 체제전환의 배경과 여건 3. 몰도바의 국가형성 과정 4. 국가 능력의 평가 5. 결론
제2부 중앙아시아 제5장 카자흐스탄의 국가건설: 소비에트 국가에서 유라시아 신흥 중견국가로의 발전 과정을 중심으로 1. 서론 2. 현대 카자흐스탄 20년: 통치제도 및 사회제도의 변화 3. 카자흐스탄 국가통치 구조 및 제도의 변화 4. 카자흐스탄 국가발전과 인적자원 체계의 변화 5. 결론 제6장 우즈베키스탄의 국가 성격 1. 서론 2. 국가성과 후견주의, 신세습주의 3. 국가 능력과 약한 국가, 실패 국가 4. 결론 제7장 키르기스스탄 국가형성 과정에서의 제도변화: 정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1. 서론 2. 잦은 헌법 개정과 튤립혁명의 좌절 3. 바키예프 정권의 교체 이후 정치적 경과 4. 의원내각제로의 전환 동인과 의미 5. 제한적 전망과 평가 제8장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건설 1. 서론 2. 투르크메니스탄 국가건설 평가: 약한 국가, 부분적 실패 국가 3. 니야조프 집권기: 권위주의 체제 성립과 공고화 4. 베르디무하메도프 집권기: 공고화된 권위주의 체제의 유지와 강화 5. 결론 제9장 타지키스탄의 국가건설 실패에 관한 다면적 분석: 내전과 ≪포린 폴리시≫의 실패 국가 지수를 중심으로 1. 서론 2. 타지키스탄 내전의 발생 원인과 과정 분석 3. 타지키스탄 내전 기간에 진행된 국가건설 과정 4. 종전 이후 진행된 국가건설 과정 5. 타지키스탄의 실패 국가 지수 6. 향후 타지키스탄의 국가건설 전망과 과제 7. 결론
제3부 캅카스 제10장 아제르바이잔의 국가건설과 정치적 정당성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검토: 국가건설과 정당성 3. 아제르바이잔 국가건설 과정의 특징 4. 아제르바이잔 국가 정당성 분석 5. 맺는 말 제11장 아르메니아의 이원집정부제: 비교적 시각 1. 신흥 민주주의 국가들의 권력구조 2. 유라시아 국가들의 권력구조 3. 헌정 구조와 민주주의 4. 헌정 구조와 내각 안정 5. 내각 안정과 정당체제 6. 아르메니아의 이원집정부제 제12장 조지아의 국가건설 과정: 민족주의에서 혁명적 국민주의로 1. 들어가는 말 2. 문제를 보는 시각: 국민주의와 제도화, 분쟁의 상관관계 3. 독립 조지아에서의 국민주의 4. 혁명적 국민주의와 분쟁 5. 맺는 말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자유 : 독일 대통령은 왜 지금 자유를 말하는가2012 / 요아힘 가우크 지음 ; 권세훈 옮김 / 부엔리브로(자음과모음)
정치인의 식탁 : 인물과 음식으로 역사를 읽는 식탁 위의 세계사 이야기2017 / 지은이: 차이쯔창 ; 옮긴이: 이화진 / 애플북스
차이나 붐: 왜 중국은 세계를 지배할 수 없는가2021 / 훙호펑 지음; 하남석 옮김 / 글항아리
동아시아 거버넌스2009 / 거버넌스 연구회 지음 / 大經
동아시아 거버넌스2009 / 거버넌스 연구회 지음 / 大經
유라시아 권위주의 : 생성 배경 동학 및 전망2011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 지음 / 엠애드
유라시아 권위주의 : 생성 배경 동학 및 전망2011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 지음 / 엠애드
유라시아의 체제전환과 국가건설 = State building in the Eurasian transition2012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연구사업단 엮음 ; 지은이: 고상두 ; 우준모 ; 윤영미 ; 김성진 ; 김상철 ; 박상남 ; 강봉구 ; 이지은 ; 성동기 ; 현승수 ; 김연규 / 한울
사람과 사람 : 김정은 시대 '북조선 인민'을 만나다.2015 / 강동완, 박정란 지음 / 너나드리
김군을 찾아서2020 / 강상우 지음 / 후마니타스
노무현 정부의 실험 : 미완의 개혁2011 / 강원택 ; 장덕진 [공] 엮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노무현 정부의 실험 : 미완의 개혁2011 / 강원택 ; 장덕진 [공] 엮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노태우 시대의 재인식 : 전환기의 한국사회2012 / 강원택 엮음 / 나남출판
지금, 김정은과 북한 : 한반도 역사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2019 / 지음: 고미 요지 ; 옮김: 배성인 / 지식의숲
냉전 이후 : 역사를 시사로, 시사를 역사로 읽는 김기협의 남북관계사2016 / 김기협 지음 / 서해문집
같이 빌린 책
빅 픽처 : 더글라스 케네디 장편소설2010 /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인간안보와 남북한 협력2013 / 서보혁 외 지음 / 아카넷
경제 이론으로 본 민주주의 : 민주주의에서 정당정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2013 / 앤서니 다운스 지음 ; 박상훈 ; 이기훈 ; 김은덕 옮김 / 후마니타스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 22011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 연구센터 지음 / 민속원
유라시아의 생활양식과 정체성2010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 연구센터 지음 / 민속원
동아시아 거버넌스2009 / 거버넌스 연구회 지음 / 大經
유라시아 권위주의 : 생성 배경 동학 및 전망2011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사업단 지음 / 엠애드
한반도 통일과 주변 4국 : 안드레이 란코프, 주펑, 빅터 차, 야치 쇼타로 외교안보전문가 4인이 말한다2011 / 최진욱 외 지음 / 늘품(늘품플러스)
같은 주제의 책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 우리가 놓치는 민주주의 위기 신호 2021 / 스티븐 레비츠키 , 대니얼 지블랫 지음 ; 박세연 옮김 / 어크로스
좋은 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2016 / 최연혁 지음 / 시공사
(영원한 라이벌) 김대중 VS 김영삼2011 / 지음: 이동형 / 왕의서재
우리, 함께 살 수 있을까? : 평화로 가는 북맹 탈출 안내서2019 / 지음: 김진향 / 슬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