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 머리말 5
서언: 노태우 리더십의 재평가_강원택 15
강한 리더십과 약한 리더십 18
시대적 요구와 리더십 27
글을 마치면서 34
제1부 국내정치
1. 여소야대 국회에 대한 반응_이현우 41
들어가며: 13대 총선 직후 정국의 의미 41
대통령과 국회의 관계에 대한 분석틀 45
대통령과 국회의 갈등과 공존모색 51
글을 마치면서 62
2. 3당합당: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정치 전개의 분기점_최준영 67
들어가며: 왜 3당합당인가? 67
제13대 총선과 여소야대 정국 71
3당합당의 원인 78
3당합당이 한국 정당정치에 남긴 유산 83
글을 마치면서 93
3. 노태우 시대 한국의 시민사회_김선혁 99
들어가며: 노태우 시대의 정치사적 의의 99
노태우 정권의 민주주의관과 시민사회관 103
노태우 시대 시민사회: 성찰과 모색 109
노태우 시대 시민사회-국가 간 관계 122
글을 마치면서: 노태우 시대의 유산과 한국 민주주의 127
4. 세계사적 전환기와 노태우 정부_박태균 133
들어가며: 노태우 정부 평가를 위한 전제 133
1990년, 세계사는 어디로 가고 있었는가? 135
1990년, 한국 사회는 어디에 있었는가? 141
노태우 정부의 자기 역할 인식 146
과도기적 개혁의 성격과 결과 153
글을 마치면서: 과도기적 정부로서 노태우 정부의 성과와 과제 163
제2부 대외관계
5. 노태우 정부의 북방외교: 엘리트 민족주의에 기반한 대전략_이 근 169
들어가며 169
북방정책의 전개 172
북방정책의 철학과 전략 178
북방정책과 북한 190
글을 마치면서: 새로운 북방정책을 위하여 195
6. 북방정책의 평가: 한국 외교대전략의 시원_전재성 201
들어가며 201
외교대전략으로서 북방정책 204
북방정책의 국내외 환경과 정책자원 213
북방정책의 이론적 가정과 구성요소 220
글을 마치면서: 북방정책의 비판적 평가 232
7. 외교-통일 분화기 한국 보수의 대북정책:
정책연합의 불협화음과 전환기 리더십의 한계_이정철 237
들어가며 237
정책 개념과 정책결정 과정의 제도화 238
정책결정 과정의 제도화와 보수관료의 분열: 밀사와 레임덕 240
형용모순의 접근법: 현실주의 포용정책 249
국내 정책연합의 형성과 총리회담 253
한국 주도성 신화의 역설과 북핵 정국 256
글을 마치면서: 위임 리더십의 공과 263
8. 노태우 시대의 대전략과 우방국 외교: 대미, 대일관계_박철희 269
국제적 전환기의 한일 대외전략 비교:
반응형 외교와 능동적 전략 외교 269
한미관계 I: 대북정책에서의 주도권 확립 276
한미관계 Ⅱ: 민족자존에 바탕을 둔 군사동맹의 변환 282
한일관계 285
글을 마치면서: 한미동맹과 북방정책의 조화 289
제3부 경제정책
9. 노태우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 평가: 성장, 금융 자유화 및
개방, 물가안정화 정책을 중심으로_송치영 295
들어가며 295
성장잠재력 확충정책 297
금융 자유화 및 개방화 확대정책 307
물가안정화 정책 316
글을 마치면서 321
10. 기업과 정치권 관계 전환기의 대기업정책_조성욱 325
들어가며 325
대기업정책의 배경 327
대기업정책의 주요 내용 331
대기업정책에 대한 평가 335
글을 마치면서 340
11. 노태우 정부 노동정책의 의의와 위상_허재준 343
들어가며 343
정치체제 변화와 노동권 변화 347
기업의 대응 355
노동시장 변화와 근로조건 변화 360
글을 마치면서 370
12. 노태우 정부 복지정책의 성취와 한계_강신욱 379
들어가며: 노태우 정부 시기의 복지정책을 바라보는 2가지 관점 379
노태우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자기평가 384
노태우 정부 시기 정책환경과 대응 388
주요 제도의 발전을 통해 본 노태우 정부 복지정책의 성과와 한계 395
글을 마치면서 403
•찾아보기 407
•편저자 약력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