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부 전환기 조선 문인의 윤리감각
제1장 전환기:‘현대’의 성격과 ‘현대 청년’ - 김남천의 『사랑의 水族館』을 중심으로
1. 리얼리즘 문학의 도정과 풍속의 구현
2. 과거의 몰락과 ‘현대’의 성격
3. ‘현대 청년’과 신여성:스켑티시즘과 센티멘털리즘
4. ‘이매-지’와 ‘이류-종’으로서의 기술과학
5. ‘현대적 풍속’의 귀착점
제2장 근대의 초극 혹은 근대문학의 종언 - 김남천의「경영」,「맥」,『낭비』 연작을 중심으로
1. ‘근대의 종언’과 전환기의 시대의식
2. ‘근대의 초극’과 ‘동양문화사론’의 가능성:「경영」과 「맥」
3. ‘짓테와 게뮤트의 분리상극’으로서의 부재의식:『낭비』
4. 근대문학의 종언과 리얼리즘의 운명
제3장 서인식의 역사철학과 쇼와 비평의 문제들
1. 쇼와라는 애수와 퇴폐의 미
2. 서인식의 역사철학적 방법론 : 방법으로서의 사회과학
3. ‘세계사’의 동양적 전회와 다문화제국론으로서의 ‘동아협동체론’
4. ‘동양사론’의 불/가능성
제4장 조선 이데올로기론 : 식민지 말기 조선의 역사철학 - 서인식의 역사철학을 중심으로
1. ‘일본 이데올로기’와 조선 역사철학의 형성
2. 서인식의 역사철학적 방법론과 조선 이데올로기론
3. 근대의 초극 또는 근대에 의한 초극
4. ‘세계사의 입장’과 운명과의 도박
5. 식민지인은 말할 수 있는가
제2부 최재서, 인문사, 국민문학
제5장 최재서의 ‘국민문학론’과 ‘고쿠고론’
1. 전환기의 논리 : 구질서의 몰락과 신체제의 수립
2.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3. 은유로서의 일본어 혹은 ‘고쿠고’
4. 역사와 지식인, 그리고 한줌의 도덕
제6장 신체제 시기 최재서의 ‘국민문학론’
1. ‘친일문학’이라는 의장
2. 경성제대 영문학과의 아카데미즘과 최재서
3. 방법으로서의 ‘국민문학’ : 부정성에 머무른다는 것
4. 최재서 ‘국민문학론’의 화법 : 은폐된 갈등과 모순
5. ‘국민문학’의 보편성과 ‘조선적인 것’의 특수성
6. 파국의 시대와 새로운 ‘역사의 천사’
제7장 전쟁과 역사 - 총동원 체제하의 최재서의 일본어 소설
1. 총동원 체제하의 조선문단
2. 원고지와 총 : 조선인 문학자의 문예동원
3. 낭만적 역사와 소설적 거짓 : 민족과 민족의 결혼으로서의 ‘내선일체’
4. 최재서 일본어 소설의 윤리
제3부 총력전 시대 : 식민지 조선문학의 가능성
제8장 총력전하의 전쟁문학 작법 - 『보리와 兵丁』,『戰線詩集』,『戰線紀行』을 중심으로
1. 전쟁과 문학
2. 번역된 전쟁 체험 :『보리와 兵丁』
3. 황군위문조선문단사절단의 전선견문록 :『전선시집』과『전선기행』
4. 총력전 시대의 전쟁문학 작법
5. 총력전의 세기와 지식인
제9장 총력전 체제하 정인택 문학의 좌표
1. 동경의 모던보이와 ‘국민문학’
2. 총력전 체제하 ‘문필보국’으로서의 전쟁문학 : ‘총후국민’의 자세
3. 징병제와 야스쿠니의 신
4. 만주개척민부락 시찰과 ‘대동아공영’의 이념
5. 결론을 대신하여
제10장 내선일체의 차질 - 김성민의 『綠旗聯盟』을 중심으로
1. 재조일본인 단체 ‘녹기연맹’과 소설 『綠旗聯盟』
2. ‘반도의 내지’ 경성과 신세대 청년의 감각
3. ‘내선’의 타자성과 정체성
4. ‘내선일체’의 불/가능성
제11장 전시변혁론으로서의 ‘동아협동체론’과 ‘동아연맹론’
1. 전시광역권론의 대두
2. 중일전쟁 시기의 ‘동아협동체론’과 ‘동아연맹론’
3. 한설야의 「대륙」과 이광수의 「대동아」
참고문헌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