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에 가려졌던 조선 왕자 생전의 모습을 생생히 담은 책이다. 조선 왕조 특유의 권력세습 형태인 '적서차별'과 '적장자계승'의 원칙이 어떻게 조선시대 왕자들의 삶을 무너뜨렸는지를 중심으로 그들의 비극적인 사연을 살펴본다.
목차
들어가는 글 역사 속 거꾸로 흐르는 강을 찾아서
서론 고려ㆍ조선ㆍ명왕조의 태자 책봉제도 고려의 왕위계승자 선정방식 조선 건국의 명분을 위해 희생된 고려사 명나라의 황위계승 방식 지키지 못한 적장자계승의 원칙 중국황실의 암투를 잠재운 황태자 밀건법
제1장 아버지가 거부한 아들, 불노와 지운 준비된 허수아비 왕 야욕가 이방원이 꾸민 묘책 억지로 앉은 세자 자리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불노의 비극 난언죄로 생을 마친 지운 세상의 비웃음거리로 산 나머지 자식들
제2장 지나친 억압과 감시로 무너진 양녕대군 양녕대군 폐위에 대한 다양한 견해 부동의 적장자, 세자가 되다 왕세자제도에 도사린 세 가지 함정 권력유지를 위해 태종이 만들어놓은 덫 세자를 엇나가게 만든 감시와 억압 태종의 폐세자 언급 복수의 칼을 빼든 양녕대군 폐위의 멍에를 안다
제3장 성종과 뒤바뀐 운명, 월산대군과 제안대군 무너진 왕위승계 원칙이 가져다준 돌발상황 인수대비의 지나친 교육열 철저한 계산하에 후사로 임명된 잘산대군 이준의 몰락과 월산대군의 유배 아닌 유배생활 제안대군의 전화위복
제4장 결코 왕이 될 수 없는 적장자, 영창대군 준비된 비극의 주인공 선조의 위신을 추락시킨 임진왜란 명나라의 세자 책봉 승인 거부 계비를 간택한 선조의 속마음 수포로 돌아간 계획 살해당한 왕의 형, 임해군 폭풍 전야의 나날들 모함으로 인해 생을 마감한 영창대군
제5장 부친의 견제로 불운을 맞이한 소현세자 포로가 된 자의 숙명 광해군이 자초한 모반사건 부당한 정치개혁의 후과, 정묘화약 적국 청나라의 볼모가 된 소현세자 용골대의 비상한 계책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될 일 화려한 귀환이 부른 비극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그림문답 : 시대의 이상과 운명에 답한 조선의 자화상2013 / 이종수 지음 / 생각정원
그림문답 : 시대의 이상과 운명에 답한 조선의 자화상2013 / 이종수 지음 / 생각정원
聖雄 李舜臣 그리고 日本城(왜성)2010 / 저자: 이종락 / 선인
조선 최대의 과학수사 X파일2008 / 이종호 지음 / 글로연
조선회화실록 : <태조 어진>부터 <백악춘효도>까지 조선 오백년을 움직인 사람들의 생각을 읽다2019 / 지음: 이종수 / 생각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