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저자 서문 한국사 주류 프레임 블랙박스를 열며
1부 노론사관·식민사관 X파일
1장 | 무거운 거짓 가벼운 진실
1. 누가 지식인인가
2. 대한민국 특급 인문학자(?)의 인터넷 강좌 ‘우리 시대의 명강의(?)’
3. 파시즘과 노론이즘
2장 | 정병설, 노론 수호의 총대를 메다
1.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정병설의 수준
2. 대중 위에 군림하라
3장 | ‘비판 아닌 비판’을 비판하다
1. 왜 『사도세자의 고백』에 광분하는가
2. 역사는 ‘왜’라는 물음에서 시작한다
3. 사료 비판이 필요한 이유
4. 『한중록』의 노예가 된 정병설
5. 『사도세자의 고백』, 어떤 책인가
4장 | 『사도세자의 고백』 비난에 대한 세부 비판
1. 배경과 맥락이 없는 명제
2. 날조와 조작
3. 혜경궁 홍씨는 왜 『한중록』을 썼나
5장 | 노론사관의 치명적 폐해
1. 독선과 능멸 그리고 죽이기 풍토
2. 노론의 사생아들
3. 노론 천국, 백성 지옥
4. 공상의 역사
5. 마녀사냥
6. 양심과 윤리의 문제
7. 집요한 인신공격의 뿌리
8. 토론인가, 전쟁인가
9. 유사 지식인들
2부 노론사관의 뿌리와 가지
6장 | ‘정조 독살설 논쟁’의 진실
1. ‘정조 어찰 공개’ 소동
2. 거짓의 굿판을 거둬라
7장 | 안대회의 정조 독살설 비판
1. 노론 후예 학자들의 고질병
2.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라
8장 | 오항녕의 극우 파시즘
1. 십만양병설 논쟁의 핵심
2. 윤휴 죽이기에 나선 성리학자들
3. 노론 바이러스
9장 | 노론사관의 적통 유봉학
1. 정조 시대를 연구한 유봉학의 활약상
2. 뼈아픈 진실, 당쟁
3부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10장 | 뿌리 깊은 역사 전쟁
1. 서로 다른 민족주의
2. 노론사관과 식민사관은 한 뿌리
11장 | 한국사의 원형과 진실
1. 침묵의 카르텔
2. 역사가의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