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에서 시작하는 우리집 건강 살리기 프로젝트. 우리가 약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오랜 경험으로 정보와 과학기술로 식품 속에서 유용한 성분을 추출하여 만든 제품이다. 우리가 ‘약식동원’, 즉 약과 음식은 근원이 같다고 말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목차
프롤로그 - 약식동원을 아시나요?
1. 어떤 음식이 좋은 음식일까? 소화가 잘되는 음식이 몸에도 좋다 우리나라 식탁의 변화 세계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한국인의 밥상 몸을 생각하는 전통음식 조리법 우리 전통 식단이 바로 슬로푸드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는 발효식품 어떻게 조리해서 먹어야 좋을까? 언제 어떻게 먹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체질에 따라 다른 몸이 되는 음식 왜 제철음식, 계절식품을 먹어야 좋다고 할까? 아침밥을 먹는 게 왜 그렇게 중요할까? 유기농식품은 정말 안전할까? 유전자조작식품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일까?
2. 몸이 되는 음식 이야기 아침에 먹는 사과는 금(金)이다 몸 안의 독을 없애주는 디톡스식품 몸에 좋은 지방, 오메가-3 다양한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콩과 콩나물 감을 먹으면 왜 변비에 걸린다고 할까? 커리가 정말 몸에 좋을까? 머리를 좋게 한다는 DHA 소금은 얼마나 먹는 게 적당할까? 설탕 대신 꿀을 먹는 게 몸에 더 좋다? 식초가 건강식품이라고? 우유는 정말 완전식품인가? 라면은 정말 몸에 좋지 않을까? 참치를 어린아이들에게 많이 먹여도 될까?
3. 병을 몰아내는 음식 이야기 변비에는 무조건 채소가 최고일까? 암을 예방하는 항암식품 치매와 기억력에 도움이 되는 음식 짜게 먹으면 왜 혈압이 높아질까? 단 것을 많이 먹으면 정말 당뇨병에 걸릴까? 뼈를 약하게 만드는 음식 감기에 걸렸을 때 사과를 먹으면 안 된다? 노화를 막아주는 식품 눈이 피로할 때는 어떤 음식을 먹는 게 좋을까? 다이어트식품은 믿을만한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비타민은 어떤 질병에 도움이 될까?
4. 식품에 관련된 상식 이야기 세계 10대 장수식품 유통기한이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 식품별 보관 요령 플라스틱 용기는 정말 몸에 해로울까? 식품첨가물은 절대로 넣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식품 가공 과정에서 사용하는 방사선은 위험하지 않을까? 식품의 색깔이 건강과 관계가 있을까? 채식주의자들은 육류를 섭취하지 않아도 건강에 이상이 없을까? 궁합에 맞는 음식, 맞지 않는 음식
서가브라우징
(송학운&김옥경의) 몸을 살리는 자연식 밥상 3652015 / 지음: 김옥경 / 수작걸다
(20대부터 챙기는) 치매예방 레시피2012 / 김지연 지음 / 호박
(20대부터 챙기는) 치매예방 레시피2012 / 김지연 지음 / 호박
식탁 위 건강오름 : 내 몸의 건강을 위해 정확히 알고 제대로 먹는 방법 2023 / 지음: 김한열 / 북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