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지식 67권. 본 저서는 다루어진 여러 작품 콘텐츠에서 재현하고 있는 공간을 시청자가 어떻게 인지하고 감성하고 있으며, 시청자의 인지는 어떤 과정을 거쳐 공간인지를 어떻게 심적 표상으로 ‘인지 지도’를 재현하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목차
Part 1 서론
Part 2 디지털 콘텐츠 시대의 문학과 예술은 스토리텔링
Part 3 스토리텔링은 인지적 구조를 가진다
Part 4 인지과학 활용의 스토리텔링 사례 1. 미국원주민 구전문화: 실코와 어드릭 2. TV 연재 시리즈: 『달라스』 & 『다이내스티』 3. 마리오 푸조 「대부」: 소설에서 영화로 4.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판타지 소설에서 디지털 영화로 5. 『스타워즈』 시리즈: SF ㅣ디지털 영화 6. 「매트릭스」: 인공지능 스토리텔링 7.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인지 교육 스토리텔링 8.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슈렉」, 「라이온 킹」의 인물, 탈원형, 색채 스토리텔링
Part 5 결론: 오브제 감상 예술에서 능동적 유희와 소통의 문화연구로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글, 우리도 잘 쓸 수 있습니다: 카피라이터가 알려주는 글에 마음을 담는 18가지 방법2022 / 지음: 박솔미 / 언더라인
아직도 글쓰기를 망설이는 당신에게 : 생애 첫 글쓰기 수업 2024 / 지음: 박순우 / 루아크
작문 교육론2008 / 박영목 지음 / 역락
철학 글쓰기와 독서를 말하다2011 / 박우현 지음 / 로직인
철학 글쓰기와 독서를 말하다2011 / 박우현 지음 / 로직인
백만불짜리 글쓰기 습관 : 아이의 글쓰기 실력이 미래를 좌우한다2019 / 지음: 박은진 / 인물과사상사
백만불짜리 글쓰기 습관 : 아이의 글쓰기 실력이 미래를 좌우한다2019 / 지음: 박은진 / 인물과사상사
스토리텔링 인지과학 만나다 : 콘텐츠 시대의 문학과 예술2010 / 박은정 지음 / 한국학술정보
초등 글쓰기가 입시를 결정한다 2022 / 지음: 박은선 / 빌리버튼
문예 창작 실기론2003 / 박이도 ; 김종회 공저 / 시와시학사
문예 창작 실기론2003 / 박이도 ; 김종회 공저 / 시와시학사
청소년을 위한 시 쓰기 공부 : 시를 잘 읽고 쓰는 방법2018 / 지음: 박일환 / 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