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4·19혁명의 한국정치사적 의의
4·19와 이승만 정부의 몰락 - 3·15에서 4·26까지 / 이완범
Ⅰ. 머리말: ‘4·19’의 명칭 문제
Ⅱ. 1950년대 말의 정치적 상황
Ⅲ. 2·28 대구민주운동
Ⅳ. 3·15 선거와 그 즉각적 반응: 미산의거와 이승만의 인지
Ⅴ. 4월 19일의 격돌
Ⅵ. 이승만 하야, 4월 20일부터 4월 26일까지
Ⅶ. 맺음말
4·19와 장면 정부의 수립 - 『사상계』의 당대 정치담론을 통해 본 재고찰 / 전상숙
Ⅰ. 머리말: 『사상계』를 통해 보는 4·19와 제2공화국 재고찰의 의미
Ⅱ. 4·19 ‘혁명’의 의미와 제2공화국의 소임과 기대
Ⅲ. ‘혁명’과 과도정부, ‘선개헌 후총선’의 현실적 기능과 의미
Ⅳ. 7·29선거의 정치적 함미와 민주당 장면 정부
Ⅴ. 맺음말
4·19혁명과 한국헌정사 - 헌법전문의 “4·19 민주이념 도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서희경
Ⅰ. 머리말: 문제제기
Ⅱ. 헌법전문에 나타난 4·19의 정신사
Ⅲ. 맺음말: 4·19 헌법 이념의 정신사적 의미
제2부 4·19혁명 비교연구 l : 국내적 차원 - 한국민주화운동의 계승과 단절
4·19 이후 한국 민주화운동의 흐름 - 현대 한국의 민주화와 제도적 정착 / 이상호
Ⅰ. 머리말
Ⅱ. 한국 민주화운동의 여정: 민주화운동의 부침과 그 역사성
Ⅲ. 한국 민주화의 제도적 정착과정과 과제
Ⅳ. 맺음말: 누구를 위한 민주화인가
2000년대 인터넷과 시민의 정치참여 - 2008년 촛불시위 사례 / 고경민
Ⅰ. 머리말
Ⅱ. 정치참여와 인터넷, 그리고 정치항의: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Ⅲ. 항의의 정치와 인터넷: 2008년 촛불시위 사례
Ⅳ. 항의의 정치로서 촛불시위와 새로운 정치참여?
Ⅴ. 정치항의로서 촛불시위의 민주적 함의
Ⅵ. 맺음말
제3부 4·19혁명 비교연구 ll : 민주화운동의 국제비교
프랑스 68혁명의 원인과 성격·파장에 대한 재해석 / 오일환
Ⅰ. 머리말
Ⅱ. 68혁명의 배경
Ⅲ. 68혁명의 성격과 파장
Ⅳ. 맺음말
<씹씨 뚤라>와 태국 민주주의 발전 / 김영애
Ⅰ. 머리말
Ⅱ. 민주화동력(民主化動力)의 역사적 배경 및 원인
Ⅲ. 학생운동의 전개 과정: ‘씹씨 뚤라’와 NSCT
Ⅳ. 과두체제의 붕괴와 정치발전
Ⅴ. 맺음말
4·19민주항쟁과 샤프론혁명 - 차이의 정치동학 비교 / 양길현
Ⅰ. 머리말
Ⅱ. 4·19와 샤프론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틀
Ⅲ. 4·19와 샤프론의 비교
Ⅳ. 맺음말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