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서문
추천사
서문 “왜 이걸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지?”
1. 학생이 질문하는 법을 배우면?
2. 질문형성기법
3. 이 책의 구성
4. 한 가지만 바꾸기-그리고 큰 차이 만들기
1장 질문형성기법: 하나의 과정으로 복합적인 사고 능력 가르치기
1. 세 가지 현명한 사고 능력
2. 질문형성기법
3. 질문형성기법의 예술과 과학
2장 질문 초점: 선택하기 학생 질문을 위한 출발점
1. 자극 제시문으로서의 교사의 질문: 유서 깊은 전통
2. 전통적인 자극 제시문에서 새로운 질문 초점으로
3. 효과적인 질문 초점이란?
4. 질문 초점 설계하기
5. 질문 초점 설계하기의 문제 해결하기
6. 결론
3장 질문 생성 규칙 소개하기: 초인지 연습
1. 질문 생성 규칙에 대한 토의의 어려움과 가치 발견하기
2. 질문 생성 규칙 소개와 토의하기
3. 규칙 소개와 토의하기의 문제 해결하기
4. 결론
4장 학생, 질문을 생성하다: 확산적 사고의 촉발
1. 교사의 역할: 학생 자신이 질문을 생성하도록 촉진하기
2. 사례 연구: 도시 지역 고등학교에서 질문 생성하기
3. 사례 연구: 도시 지역 고등학교 생물 수업에서 질문 생성하기
4. 사례 연구: 교외 지역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 생성하기
5. 질문 생성하기의 문제 해결하기
6. 결론
5장 학생, 질문을 개선하다: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
1. 왜 지금 멈추나?
2.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 소개하기
3. 사례 연구: 학생이 질문을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분류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4. 각 유형의 질문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토의하기
5. 질문을 한 유형에서 다른 유형으로 바꾸기
6.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 묻기의 문제 해결하기
7. 결론
6장 학생, 질문의 우선순위를 정하다: 분석과 수렴
1. 우선순위 질문을 선정하는 과정-개요
2. 명확한 우선순위 기준 설정하기
3.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의 단계
4. 사례 연구: 도시 지역 고등학교에서 질문의 우선순위 정하기
5. 사례 연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우선순위 질문 정하기
6. 질문의 우선순위 정하기의 문제 해결하기
7. 결론
7장 다음 단계: “이 모든 질문을 가지고 무엇을 하지?”
1. 질문 사용을 위한 많은 선택지
2. 수업 예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 질문 사용하기
3. 사례 연구: ‘수학자처럼 사고하기’
4. 사례 연구: 학생 질문이 연구 주제를 정하다
5. 학생 질문이 ‘열림 버튼’을 누르다
6. 사례 연구: 자원봉사자의 도움으로 연설문을 쓰기 위한 질문의 문을 열다
7. 결론
8장 학생, 자신의 학습을 성찰하다: 인지, 정서 그리고 행동
1. 학습 증진, 초인지 강화 그리고 지속적인 적용의 보장
2. 성찰 과정
3. 성찰 활동 설계하기
4. 성찰 문제 해결하기
5. 결론
9장 동료 교사들에게 보내는 메모: 질문형성기법을 사용하면서 내가 배운 것
1. 하나의 큰 변화: 학생, 질문을 하는 주체가 되다
2. 변화는 질문 초점에서 시작된다!
3. 학생에게 규칙을 상기시켜라!
4. 과정에 성찰하는 부분을 넣어라
5. 동등하게 인정하고, 판단하지 말라
6. 시도하라!
10장 학생과 수업, 완전히 바뀌다: 자기주도적인 학습자 공동체
1. 학생에게 일어나는 변화
2. 수업에서 일어나는 변화
결론 질문과 교육, 질문과 민주주의
1. 발견, 참여, 성취를 통한 교육 개선
2. 학생 질문과 더 나은 교수
3. 질문하는 방법을 배운 학생은 민주주의의 실현을 도울 수 있다
4. 행동의 촉구
미주
저자 후기
찾아보기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