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제국대학 장서 연구 1권. 일제강점기의 유산, 경성제국대학 장서의 구성을 알아보고 어떤 활용가치가 있을지 알아본 책이다. 과거 경성제국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던 분야별 장서의 구성을 보여주고, 각각의 도서들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생각하게 하는 일종의 안내서 내지 권학서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도서목록과 도서원부 / 진필수 1. 일제시대 도서관들의 분류와 비교의 의의 2. 도서목록의 비교 3. 도서원부의 분석
제2장 일제 식민지·이민지 자료의 구성과 활용가능성 - 식민 항목의 장서분석 / 진필수 1. 식민 항목 장서의 분류 2. 식민정책론에 관한 문헌 3. 식민지 사정에 관한 문헌 4. 이민지 사정에 관한 문헌 5. 제국의 문헌자료 재해석과 탈식민주의 지역연구의 길
제3장 일제 총동원체제의 기원과 특징에 대한 재검토 - 군사 항목의 장서 분석을 중심으로 / 진필수 1. 사회체제로서의 총동원체제 2. 일제 국가총동원법의 체계와 당대의 쟁점 3. 서구제국 동원체제에 대한 학습과 창안의 요소들 4. 일제의 총동원체제와 동아시아 전후사
제4장 일본제국 통치합리성으로서 학문지식의 진화 - 수산업·산업 항목의 장서 분석 / 오창현 1. 제국학지의 시계열적 변화 2. 근대 국가의 성립과 지식권력 3. 근대 학문지식의 전개와 가치합리성의 문제 4. 국체 보존을 위한 ‘통치합리성’의 진화 5. 제국의 성쇠와 통치합리성의 진화 단계들
제5장 국토·식민지 정보의 축적과 변용 - 지지 항목의 장서 분석 / 김순주 1. 경성제대 부속도서관 장서와 식민주의 2. 지지 항목 장서의 분류 및 구성 3. 일본 지지의 분야별 검토 4. 식민지 지지의 지역별 검토 5. 지지 장서의 활용과 향후 과제
제6장 일제 국가신도의 국민도덕화와 일본정신의 자각 - 신도·윤리 항목의 장서 분석 / 문혜진 1. 황민화 정책과 국가신도 2. 일본 국민도덕의 형성과 변천 3. 국민도덕으로서의 국가신도 4. 일본정신의 자각과 이식
제7장 조선문화의 발견과 법문학부 민요조사의 관련 양상 - 문학부계열 장서의 분석 / 김광식 1. 고대문화의 잔존과 구비문학 조사 2. 어문학 장서 구성의 분석 3.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조사와 그 계승 4.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의 민요채집 5. 조선 구비문학 조사의 역사와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