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며 수면 위로 드러났던 형제복지원 사건 피해생존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책이다. ‘한국판 아우슈비츠’라고 불리는 형제복지원은 원장 박인근을 비롯한 개인의 악마성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
목차
들어가는 말 | 온 마음을 다해 귀를 기울여주길
1부 숫자에 갇힌 시간 잃어버린 13년, 그게 내 인생의 전부예요 / 박경보 구술·홍은전 기록 가난하고 힘없고 누추한 사람들은 다 제거 대상이었는가 / 김희곤 구술·박희정 기록 내 인생의 비어버린 시간들, 형제복지원 / 하안녕 구술·이묘랑 기록 반평생을 시설에서 살았습니다. 듣고 계십니껴? / 황송환 구술·유해정 기록 27년 만에 손잡으니까 좋데요 / 이상명 구술·명숙 기록
2부 시간을 찾는 사람들 서류철 하나에 집약된 인생 / 김영덕 구술·서중원 기록 다 내 탓이라고 자책하며 살았어요 / 김철웅 구술·유해정 기록 평생 아버지를 용서하려고 노력했어요 / 이향직 구술·홍은전 기록 묻어놓고 살면 뭐가 잘못된 건지도 모르고 살아요 / 최승우 구술·이묘랑 기록 혼자 살 수 없는 이 삶 자체가 어디서 왔나 / 홍두표 구술·박희정 기록 동생한테 늘 미안했어요 / 이혜율 구술·명숙 기록
부록 여전히 지옥 속에 사는 생존자들, 형제복지원 특별법을 제정하라 / 조영선[변호사·형제복지원 대책위 집행위원장] 국가에 의해 버려졌던 삶, 사람에서 짐승으로, 짐승에서 사람으로 다시 돌아가려 합니다 / 헝제복지원 피해생존자모임 형제복지원 연혁 글쓴이 소개
서가브라우징
불편하면 따져봐 : 논리로 배우는 인권 이야기2014 / 지음: 최훈 / 창비
인권2019 / 앤드루 클래펌 지음 ; 이지원 옮김 / 교유서가
이 장면, 나만 불편한가요? : 미디어로 보는 차별과 인권 이야기 2021 / 지음: 태지원 / 자음과모음
인권사회학의 도전: 인권의 통합적 비전을 향하여 2020 / 지은이: 마크 프레초 ; 옮긴이: 조효제 / 교양인
한국 여성인권운동사 2020 / 한국여성의전화연합 엮음 / 한울아카데미
살아남은 아이 : 우리는 어떻게 공모자가 되었나? 2014 / 지음: 한종선, 전규찬, 박래군 / 이리
남북 청춘, 인권을 말하다 : 분단국가의 양쪽에서 태어난 청춘들의 진짜 인권 이야기2015 / 허다연 ; 김종현 ; 최일화 ; 김승영 ; 노민우 ; 김은영 ; 이현석 ; 김성아 지음 / 한티재
숫자가 된 사람들 : 형제복지원 피해생존자 구술기록집2015 / 형제복지원구술프로젝트 지음 / 오월의봄
충분하지 않다: 불평등한 세계를 넘어서는 인권2022 / 새뮤얼 모인 지음; 김대근 옮김 / 글항아리
나는 말랄라 : 교육받을 권리를 위해 당당히 일어섰던 소녀 그래서 탈레반의 총에 맞았던 소녀2014 / 말랄라 유사프자이, 크리스티나 램 [공]지음 ; 박찬원 옮김 / 문학동네
평등, 헤아리는 마음의 이름 2019 / 지음: 오준호 / 생각과느낌
개인적 자유에서 사회적 자유로 : 어떤 자유, 누구를 위한 자유인가2018 / 김비환 지음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자유에 관하여 2024 / 지음: 존 스튜어트 밀 ; 옮김: 김은미 / 후마니타스
자유론2018 / 존 스튜어트 밀 지음 ; 서병훈 옮김 / 책세상
(있지도 않은 자유를 있다고 느끼게 하는)거짓자유 : 시민을 위한 정치 입문서2019 / 엄윤진 지음 / 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