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어떻게 새로운 세계와 만나고, 그 과정에서 번역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고대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어를 쓰지 않는 사람들을 바바로스, 즉 ‘헛소리를 하는 야만인’이라고 불렀고, 로마인들은 그리스어를 제외하면 자신들이 정복한 땅의 어떤 언어도 배우지 않았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번역이란 무엇인가 제2장 번역을 피할 수 있을까 제3장 우리는 왜 번역을 ‘번역’이라 부르는가 제4장 번역에 대해 사람들이 말하는 것들 제5장 이국화의 허구: ‘외국어처럼 들린다는 것’의 역설 제6장 선천적 언어 구사력: 당신의 언어는 정말로 당신의 것인가 제7장 의미는 그렇게 단순한 게 아니다 제8장 골치 아픈 단어 제9장 사전에 관하여 제10장 직역이라는 허구 제11장 신뢰의 문제: 구술 번역의 오랜 그림자 제12장 맞춤 재단: 형식을 번역하기 제13장 말할 수 없는 것은 번역할 수 없다: 형언 가능성의 원칙 제14장 우리는 커피에 관한 단어를 몇 개나 가지고 있는가 제15장 성서와 바나나: 번역 관계의 수직축 제16장 번역의 영향 제17장 제3의 코드: 방언으로서의 번역문 제18장 언어는 섬이 아니다: L3이라는 곤란한 존재 제19장 세계적인 흐름: 출판 번역의 중심부와 주변부 제20장 인권의 문제: 번역과 국제법의 보급 제21장 번역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유럽연합 내 언어의 동등성 제22장 뉴스 번역 제23장 자동 언어 번역 기계의 모험 제24장 당신 귀에 물고기: 동시통역의 짧은 역사 제25장 짝지을 수 있으면 지어 봐: 유머의 번역 제26장 문체와 번역 제27장 문학작품 번역 제28장 번역가가 하는 일 제29장 경계선 긋기: 번역이 아닌 것 제30장 맹비난의 표적: 번역 겨냥하기 제31장 동일성, 유사성 그리고 짝: 번역에 관한 진실 제32장 <아바타>: 번역의 우화
맺음말을 대신하여 주 일러두기와 감사의 말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언어의 아이들 : 아이들은 도대체 어떻게 언어를 배울까?2019 / 조지은, 송지은 지음 / 사이언스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