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머리말
제1장 광동어란 무엇인가
제2장 공동어의 어휘
1. 영어사전에 수록된 광동어
1) 횅공(香淃)→ 홍콩(Hong kong)
2) 케짭(茄汁)→케첩(ketchup)
3) 라이찌(荔枝)→라이치, 리치(litchi)
4) 딤쌈(點心)→딤섬(dim sum)
5) 다이퐁(大風)→타이푼(typhoon)
2. 광동의 지역적인 특성과 관련 있는 어휘
1) 얼음(雪)
2) 목욕하다(冲凉)
3) 뱀, 고양이, 닭으로 만든 요리(龍虎鳫)
4) 연애하다(拍拖)
5) 독신녀(自梳女)
6) 간호사(姑娘)
7) 서양사람(紅毛頭)
8) 꼬투리째 먹는 완두콩(荷蘭豆)
9) 외국으로 팔려간 노동자(賣猪仔)
3. 불긴한 뜻을 가진 글자와 똑같은 발음의 글자는 쓰지 않는다
1) 혀(舌→脷)
2) 간(肝→膶)
3) 말린 두부(豆腐乾→豆腐膶→豆膶)
4) 돼지 피(猪血→猪紅)
5) 달력(通書→通屋)
6) 빈집(空屋)→(吉屋)
7) 긴 대나무 장대(竹杠→竹昇)
4. 영어에서 들어온 외래어
(1) 광동어를 거쳐 표준중국어로 간 외래어
1) 택시(taxi)→땍시(的士)→디스(的士)
2) 롱맨(Longman)→롱만(朗文)→랑원(朗文)
3) 하얏트(Hyatt)→호이윗(凱悦)→카이웨(凱悦)
4) 왓슨스(Watsons)→왓싼씨(屈臣氏)→취천스(屈臣氏)
5) 스위스(Swiss)→쏘위씨(瑞士)→루이스(瑞士)
6) 스웨덴(Sweden)→쏘위딘(瑞典)→루이뎬(瑞典)
7) 덴마크(Denmark)→딴막(丹麥)→단마이(丹麥)
8) 캐나다(Canada)→까나다이(加拿大)→자나다(加拿大)
(2) 표준중국어보다 더 원음에 가까운 광동어
1) 기타(guitar)→깃타(結他)-지타(吉他)
2) 소파(sofa)→쏘파(梳化)-사파(沙發)
3) 선디(sundae)→싼데이(新他)-성다이(聖代)
4) 할리우드(Hollywood)→호레이웃(荷李活)-하오라이우(好萊塢)
5) 짐 캐리(Jim Carrey)→찜께이레이(占基利)-지무카이리(吉姆凱利)
6) 마이클 잭슨(Mical Jackson)→마이꼬우쩩쏜(米高樍遜)-마이커얼제커쉰(邁克爾杰克遜)
7) 엘튼 존(Elton John)→아이똔쫑(艾頓莊)-아이얼둔웨한(埃爾頓約翰)
8) 베컴(Backham)→뻭함(碧咸)-베이커한무(貝克漢姆)
(3) 음으로 번역한 광동어, 뜻으로 번역한 표준중국어
1) 쿠키(cookie)→콕케이(曲奇)-빙간(餅乾)
2) 젤리(jelly)→쩰레이(啫喱)-궈둥(杲凍)
3) 스트로베리(strawberry)→시또뻬레이(士多啤梨)-차오메이(草莓)
4) 필름(film)→페일람(菲林)-자오쥐안(膠卷)
5) 넘버(number)→람바(冧巴)-하오마(號碼)
6) 스탬프(stamp)→시땀(士擔)-유퍄오(郵票)
7) 바이올린(violin)→와이우린(歪烏連)-샤오티친(小提琴)
8) 투나(tuna)→탄나위(呑拿魚)-진창위(金槍魚)
제3장 광동어의 글자
1. 입구(口)部를 쓰는 광동어 상용글자
1) 이(呢)
2) 저(嗰)
3) 오다(嚟)
4) 아니다(唔)
5) 물건, 일, 녀석(嘢)
6) 조금(啲)
7) 이렇게, 저렇게(咁, 噉)
8) ~들(哋)
9) ~의(嘅)
10) 있다, ~에, ~에서, ~에서부터(喺)
2. 모양이 특이한 글자
1) 그 사람, 그녀(佢)
2) 무엇(乜)
3) 없다(冇)
4) 예쁘다(靚)
5) 왜소하다, 수입 등이 적다(奀)
6) 피곤하다(癐)
7) 잠자다(瞓)
8) 찾다(揾)
9) 암컷(乸)
10) 바퀴벌레(曱甴)
11) 모두(冚唪唥)
3. 한자 본래의 뜻과 다른 글자
1) 점→어떻게(點)
2) 가장자리→어느(邊)
3) 다리→방법(橋)
4) 소리 지르다→울다(喊)
5) 희롱하다→화내다(嬲)
6) 매다, 연계하다→~이다(係)
7) 참다→오랫동안(耐)
8) 귀신→누구(막연한 사람), 서양사람, 엄청나게(鬼)
4. 한국 한자와는 같지만 표준중국어와는 다른 글자
1) 먹다(食 - 吃)
2) 마시다(飮 - 喝)
3) 걷다(行 - 走)
4) 달리다(走 - 跑)
5) 입다(着 - 穿)
6) 날(日 - 天)
7) 집(屋 - 房)
8) 방(房 - 屋)
참고서목
사진 자료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