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정서행동장애의 기초' 편으로,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특성, 이론적 설명에 관한 개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2부는 '정서행동장애학생 지도' 편이다.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행동적, 사회적, 학업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감정적인 영역에 관련된 중재까지 총체적으로 제시한다. 3부 '성공적인 교사' 편에는 협력과 특수교육법에 관한 정보를 담았다.
목차
PART 1 정서행동장애의 기초
제1장_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1. 정서행동장애 이해의 중요성
2. 정서행동장애의 역사
3.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4. 정서행동장애의 사회적 구조
5.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제2장_ 정서행동장애의 특성
1. 정서행동장애의 출현률
2. 유아기 정서행동장애
3. 정서행동장애의 유형과 특성
제3장_ 다양한 이론과 원인론
1. 정신신경학적 이론
2. 정신역동 이론
3. 행동주의 이론
4. 사회학습이론
5. 인지발달이론
6. 생태학적 체계 이론
7. 사회학 이론
8. 도덕성 발달
9. 역동적 체계 관점
10. 사회경제적 요인
11. 아동학대
12. 발달에 미치는 문화의 영향
제4장_ 정서행동장애의 판별
1. 사정 절차
2. 학업 기술 사정
3. 행동 문제 검사
4. 사회적 기술 사정
5. 특수교육 적격성 결정
제5장_ 개별화교육프로그램
1. IEP 구성요소
2. IEP 팀
3. IEP 개발
4. 부모와 IEP 절차
5. 개발화전환계획
6. 합당한 절차 청문회를 예방하기
PART 2 정서행동장애학생 지도
제6장_ 행동관리
1. 행동관리의 목적
2. 긍정적 행동지원
3. 행동기능평가와 행동중재계획
4. FBA 수행
5. BIP 개발하기
6. 교실행동관리
7. 행동중재전략에 관한 염려
제7장_ 사회성 기술 교육
1. 사회성 기술의 목적
2. 사회성 기술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3. 사회성 기술 교육 모델
4. 문제해결 기술
5. 자기 결정
6. 소년소녀 도시교육 모델
7. 교실 전략
8. 사회적 행동의 문화적 실제
9. 사회성 기술의 중요성
제8장_ 학업기술 교육
1. 학업교수의 목적
2. 교사 개입 학업 중재
3. 또래 개입 학업 중재
4. 아동 개입 학업 중재
5. 학업 내용
6. 교육과정 및 교수법 수정
7. 학업교수 시간
8. 학업적 강화
제9장_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정서적 요구에 대한 반응
1. 학급 상담 기술
2. 학교 기반 정신건강 관리
3. 제한적이고 집중적인 환경
PART 3 성공적인 교사
제10장_ 협력
1. 부모와의 협력
2. 보조원과의 협력
3. 일반교사와의 협력
4. 행정가와의 협력
제11장_ 정서행동장애학생 교수와 관련된 법적·윤리적 논쟁점
1. IDEA 2004의 간략한 개요
2. 최소제한적 환경과 통합
3. 학생 기록
4. 행동관리 문제
5. 훈육
6. 법적·윤리적 고려사항
7. 약물
제12장_ 끝맺는 말 : 교훈
1. 어떤 교사의 생활
2. 균형유지를 배우기
3. 교사의 행복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