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저자 서문
1부 실록 속의 논어
1 생각하지 않은 것이지, 어찌 멀다 하겠는가?
태조실록과 숙종실록 속의 논어 자한 편
2 자신의 노여움을 다른 사람에게 옮기지 않고 같은 허물을 되풀이하지 않는다
인조실록과 현종개수실록 속의 논어 옹야 편
3 임금의 말이 바르고 착하지 못한데도 이를 거역하는 이가 없다면 어찌 되겠는가
세종실록과 단종실록 속의 논어 자로 편
4 멀리 내다보고 생각하지 않으면 머지않아 근심이 닥친다
세종실록과 순조실록 속의 논어 위령공 편
5 사랑한다면서 수고롭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세조실록과 성종실록 속의 논어 헌문 편
6 사람이 나쁘다고 그가 하는 말까지 모두 버려서는 안 된다
명종실록, 효종실록, 현종실록 속의 논어 위령공 편
7 좋은 인재를 등용해야 민심의 지지를 얻는다
광해군일기, 영조실록, 정조실록 속의 논어 위정 편
8 몸가짐이 흐트러지기 전에 술 마시기를 멈춘다
효종실록과 숙종실록 속의 논어 향당 편
9 열 집이 사는 작은 고을에도 인재는 있다
세종실록과 정조실록 속의 논어 공야장 편
10 미리 억측하거나 지레 의심하면 안 된다
태종실록, 중종실록, 명종실록, 효종실록 속의 논어 헌문 편
11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나 자신을 위해 공부한다
숙종실록과 영조실록 속의 논어 헌문 편
12 좋은 말을 들었으면 실천하여 고친다
태종실록, 성종실록, 명종실록, 정조실록 속의 논어 자한 편
13 얻고 싶어 매달리고 잃을까 봐 근심하는 자를 멀리하라
성종실록, 중종실록, 선조실록, 광해군일기, 영조실록, 정조실록 속의 논어 양화 편
14 백성이 고르지 못함을 걱정하고 편안하지 못함을 걱정하라
효종실록 속의 논어 계씨 편
15 두려워하되 힘껏 도모하고, 조심스럽되 앞으로 나아간다
세종실록과 영조실록 속의 논어 술이 편
16 말로 가르치는 자에겐 따지고, 몸으로 가르치는 자에겐 따른다
세종실록, 명종실록, 승정원일기, 고종실록 속의 논어집주 안연 편
17 돌아가신 부모님을 기리는 최소한의 시간은 3년이다
세종실록과 단종실록 속의 논어 양화 편
2부 실록 속의 맹자, 대학, 중용
18 만물이 다른 것은 자연의 이치이다
세종실록, 정조실록, 순조실록 속의 맹자 등문공상 편
19 임금의 아버지라도 법 앞에서 예외는 없다
태종실록, 문종실록, 성종실록, 정종실록 속의 맹자 진심상 편
20 내가 나 스스로를 업신여기면 남들도 나를 업신여긴다
고종실록과 순종실록 속의 맹자 이루상 편
21 우환이 나를 살게 할 것이고 안락이 나를 죽음으로 이끌 것이다
단종실록과 선조실록 속의 맹자 고자하 편
22 마음속에 큰 뜻을 품고 그 뜻을 이루기 위해 온 힘을 다해 노력한다
세조실록, 선조실록, 인조실록 속의 맹자 등문공하 편
23 아랫사람도 기꺼이 스승으로 삼을 수 있는 자세를 가져라
영조실록과 정조실록 속의 맹자 공손추하 편
24 분노는 올바름을 잃게 만든다. 마음을 담담하고 맑게 가져라
현종실록과 정조실록 속의 대학 전7장
25 좋아하면서도 나쁜 점을 살피고, 미워하면서도 아름다운 면을 알아본다
숙종실록과 영조실록 속의 대학 전8장
26 하루하루를 새롭게, 또 새롭게
선조실록, 효종실록, 숙종실록 영조실록 속의 대학 전2장
27 친구로부터 믿음을 받지 못하면 윗사람의 신임을 얻을 수 없다
선조수정실록과 인조실록 속의 중용 20장
28 말은 행동을 돌아보고 행동은 말을 돌아본다
성종실록 속의 중용 13장
29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세상을 변하게 한다
중종실록과 순조실록 속의 중용 23장
30 나랏일은 원칙을 가지고 미리 준비하고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성종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숙종실록, 순조실록 속의 중용 20장
31 나쁜 것을 숨겨주고 착한 것을 드러낸다
태종실록, 성종실록, 인조실록 속의 중용 6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