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세기 후반부 언어학 혁명을 주도한 촘스키는 인류 공통의 보편문법이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고 생득적 언어습득장치는 또 어떻게 작동하는지 밝히기 위해 언어의 형식-논리적 심층구조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했다.
목차
들어가기 1. 문제제기 2. 대안 3. 내용 요약
1부. 언어의 물적 토대 1장. 발화생리학 1. 발성과 호흡 2. 후두 3. 성대 진동 메커니즘 4. 성대 진동수를 결정하는 요인들 2장. 음향음성학 1. 파동의 원리 2. 음파 3장. 청각음성학 1. 외이와 중이 2. 청소골의 이중 기능 3. 내이 4. 유모세포 5. 기저막 4장. 언어와 뇌 1. 우뇌도 언어영역이다 2. 음성 지각 시청각 코드는 다른 지각 코드들과 상호작용한다 3. 언어 정보처리 모듈이 뇌에 따로 존재할 필요는 없다 4. 제언
2부. 구어체 이해 섹션 1. 언어기호의 표현단면 5장. 자음 1. 표현단면 구성성분 2. 음성언어와 몸짓언어 3. 프랑스어와 영어 자음 비교 4. 성분분석 5. 조음점 6. 조음방식 6장. 모음 1. 1, 2차 모음도식 2. 프랑스어와 영어 모음 비교 7장. 음성 변이 1. 단어 내 음성 변화 2. 단어 간 음성 변화 3. 이음 4. 중화 5. 말과 정체성 8장. 운율 1. 음절구조 2. 강세 3. 강세 중심 언어 vs 음절 중심 언어 4. 프랑스어 강세 5. 영어 단어 강세 섹션2. 언어기호의 내용단면 9장. 언어, 행위, 추론 1. 비의도적 커뮤니케이션 2. 의도적 커뮤니케이션 10장. 언어와 예절 1. 정보와 의례 2. 브라운과 레빈슨의 언어예절모델 3. 문제점 4. 공손법 11장. 통합 화용론 1. 협의적 의미와 광의적 의미 2. 비직시어 3. 직시어 4. 언어 사용과 공간 지각 12장. 언어와 인지 1. 영상도식 2. 인지의미론과 신수사학 3. 제언: 범시성 기반 인지기호학 4. 적용
3부. 역사적 언어문화 이해 13장. 프랑스어의 역사 1. 프랑스어권 2. 프랑스어 방언 3. 프랑스어의 탄생 4. 고대 프랑스어의 전개 5. 중세 프랑스어 6. 문예부흥기 프랑스어 7. 철자법 개혁 8. 고전 프랑스어 9. 근·현대 프랑스어 10. 다언어주의 14장. 프랑스어 역사언어학 1. 비교문법 2. 어원 및 차용어의 역사 3. 언어의 변천과 진화는 동종의 현상이다 15장. 언어 고고학 1. 적응설 2. 격변설 3. 언어 진화의 관점에서 본 인류 진화
나가기 1. 언어와 정책 2. 신체화된 소통 3. 언어의 반은 자연이고 나머지 반은 문화다 4. 적응설/격변설 종합 기반 언어 진화 시나리오
참고문헌 도식 인명 용어해설
서가브라우징
(헬로우 Mr. 랭귀지)이상한 나라의 언어 씨 이야기 : 900개의 발명된 언어, 그 탄생에서 죽음까지2010 / 에리카 오크런트 지음 ; 박인용 옮김 / 함께읽는책
사라질 것 같은 세계의 말 : 세상을 가득 채우고 있는 소수언어에 대하여2018 / 글: 요시오카 노보루 ; 그림: 니시 슈쿠 ; 옮김: 문방울 / Seedpaper(시드페이퍼)
인지언어학개론1998 / Friedrich Ungerer ; Hans-Jorg Schmid 지음 / 태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