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머리말
02 어디까지가 고대사인가? - 時代區分論
03 국가와 그 인식
1) 국호의 기원
2) 국가의 기원과 인식 문제
04 국가의 성격과 自國史 與否 문제
1) 頭髮과 服飾에서 본 고조선의 정체성
2) 熊津都督府의 귀속 문제
3) 唐에서 재건된 백제
4) 女眞史의 歸屬 問題
5) 중국과 관련한 한국사 전개
05 王都와 都城制
1) 고조선과 부여
2) 고구려
3) 백제
4) 新羅ㆍ加羅
06 정치와 제도사
1) 고조선
2) 고구려
3) 백제
4) 新羅
5) 加羅
6) 한국 고대사회에서 술
07 대외관계, 전쟁과 영토 문제
1) 교통로의 개척과 고조선과 고구려 영토에 대한 인식
2) 고구려
3) 백제
4) 신라
08 思想과 祭儀, 그리고 寺刹과 佛像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09 왕릉과 고분 연구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김유신묘와 구형왕릉
10 지리 비정
1) 고구려 - 阿旦城 위치
2) 백제
3) 신라 - 娘臂城 위치
11 금석문 연구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12 『삼국사기』의 底本, 一探索
13 후삼국기 연구
1) 정치사 연구
2) 오월국과의 교류
3) 농민 시책
4) 후삼국의 마지막 戰場, 馬城 비정
5) 허스트 3세의 방법론
14 교과서와 용어 문제
1)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2) 領海 表記
3) 풍납동토성 표기
4) ‘復興運動’
15 歷史家 연구
1) 李丙燾
2) 孫晋泰
3) 金洸鎭
16 맺음말 - 무엇이 한국 고대사 연구의 과제인가?
| 附錄 | 문화 주권과 전통문화
1. 문화 안보가 필요한 이유, 부끄러운 自畵像
2. 한국 고대문화는 중국 문화 일변도 아니었다
3. 독자 문화의 정립을 위한 노력
4. 역사 주권의 확립을 위한 노력
5. 領海 표기를 통해 본 盲從史觀
6. 고구려 유적에 대한 沒覺과 광개토왕릉비 연구
7. 문화 안보를 위한 事大意識의 克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