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이토 아사는 시각장애인의 공간 인식부터 신체 사용법, 의사소통 방법, 생존 전략으로서의 유머 등을 분석하여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보는 방법'에 바짝 다가가며, 시각장애인에 관해 비장애인이 갖고 있는 선입견과 오해를 풀어가고 있다.
목차
머리말 이 책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서장-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는 방법 나와 다른 신체를 가진 존재를 실제로 느껴보고 싶다 미학과 생물학의 공통점 미학이란? 자신에게 ‘늘 당연했던 것’을 버리다 눈이 보이지 않는 것과 눈을 감는 것 내일 오후에 비가 올 확률은 60퍼센트라는 ‘정보’와 ‘의미’ 움벨트란 무엇일까? 눈이 보이는 사람이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을 대하는 태도 중도 실명한 기노시타 씨가 들려준 경험 ‘나는 나, 그쪽은 그쪽’이라는 거리감
1장 공간 | 눈이 보이는 사람은 2차원,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은 3차원? “오오카야마는 정말 산이네요” 머릿속에 여유 공간이 있을까? 내가 정보를 사용하고 있는가? 정보가 나를 사용하고 있는가? “보이지 않는 세계에는 정보가 거의 없어요” 정보에 구애받지 않는 편안함 볼 수 없기 때문에 볼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패션 시각능력은 사고법에 영향을 미친다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후지 산과 눈이 보이는 사람의 후지산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색채 감각 눈이 보이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사각지대가 있다 「태양의 탑」에는 얼굴이 몇 개가 있을까?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에게는 사각지대가 없다 앞은 뒤, 뒤는 앞 ‘안’과 ‘밖’이 동등한 가치를 지니다
2장 감각 | 읽는 손, 보는 귀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은 ‘특별한’ 청각이나 촉각을 갖고 있을까?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을 특별하게 바라보는 시선이 가져오는 두 가지 문제점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점자’라는 오해 ‘점자=촉각’이라는 인식의 오해 촉각을 쾌감으로 연결짓는 실수 감각의 서열 교육이란 촉각의 세계에서 시각의 세계로 이끄는 것 점자는 ‘만지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 ‘보는’ 것은 눈으로만 가능한 일일까? ‘보다’의 의미를 눈과는 별개로 생각해야 한다 귀로 ‘둘러보고’ 상황을 파악한다 손이나 엉덩이도 눈과 똑같은 활동을 한다 귀로 보다, 눈으로 듣다, 코로 먹다, 입으로 냄새 맡다 재활과 진화의 유사성
3장 운동 |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신체 사용법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신체 사용법을 이해하는 첫 번째 열쇠 눈이 보이지 않게 되고 나서 오히려 넘어지지 않았다 볼더링과 마사지의 공통점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 나름의 ‘준비’ 블라인드 서핑: 눈이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파도를 탈 수 있을까? 중심을 하나로 만든다 ‘(탈것 등을) 타다’와 함께 ‘(박자 등을) 타다’ “자립이란 의존성을 키우는 일이다” 슬쩍 빠져나오기: 합기도가 다루는 기의 흐름 신체의 본질: 싱크로 능력 블라인드 축구: 공 차는 소리를 들으며 경기를 ‘보다’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슛을 막기는 매우 어렵다 “아! 이것이 메시의 플레이로구나” 공포심을 극복하는 방법 ‘머릿속의 바’를 뛰어넘는다
4장 언어 | 타인의 눈으로 보다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미술 감상 눈이 보이는 사람의 말이 유일한 무기다 “우리 같은 시각장애인도 로댕을 볼 권리가 있습니다” “시각장애인도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 전국으로 확산된 소셜 뷰잉 ‘의미’ 공유: 소셜 뷰잉의 흥미로움 ‘눈의, 눈에 의한, 눈을 위한’ 인상파의 그림 ‘길을 찾아가는’ 미술 감상 정보를 얻는 것이 미술 감상의 목적은 아니다 결과 위주의 사고방식 우리는 ‘추리하면서 보는 방법’에 익숙하지 않다 “도자기 잔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 도자기 잔으로 변했다” 감상이란 감상자가 작품을 다시 만드는 작업 타인의 눈으로 사물을 보다 촉매 역할을 하는 장애 눈이 보이는 사람도 제대로 보지 못한다
5장 유머 | 살아남기 위한 무기 ‘불편함’을 다루는 방법 오늘 먹게 될 스파게티는 미트 소스일까? 크림 소스일까? 회전 초밥은 러시안룰렛 우리의 표현 도구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해진 방법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프로이트의 유머론 동정이나 연민이 없는 관계 ‘답답함’의 정체 생각을 바꾸는 힌트 그렇다면 장애란 무엇일까?
감사의 글 옮긴이의 말
서가브라우징
(인권 관점에서 보는) 장애인복지 =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y2013 / 유동철 저 / 학지사
장애인복지론 =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2015 / 공저: 윤선오, 김우호 / 양서원
이규식의 세상 속으로: 나의 이동권 이야기2023 / 지음: 이규식 / 후마니타스
장애와 상담2003 / 이달엽 저 / 교육과학사
(장애인을 위한)직업개발과 배치2004 / 이달엽 저 / 학지사
장애아동을 사랑하는 사람들 : 장아람재단 30년의 기록 2024 / 지음: 이미경 / 이곳
장애인복지론 = Social welfar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2016 / 공저: 이승기, 윤상용, 서동명 / 신정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은 세상을 어떻게 보는가2016 / 지음: 이토 아사 ; 옮김: 박상곤 / 에쎄
장애인복지론 = Social welfar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2013 / 임종호, 이영미, 이은미 공저 / 학지사
장애인복지론 = Social welfar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2016 / 지은이: 임종호, 이영미, 이은미 / 학지사
우리가 아는 장애는 없다 : 장애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 2011 / 엮음: 베네딕테 잉스타, 수잔 레이놀스 휘테 ; 옮김: 김도현 / 그린비
우리가 아는 장애는 없다 : 장애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 2011 / 엮음: 베네딕테 잉스타, 수잔 레이놀스 휘테 ; 옮김: 김도현 / 그린비
장애인 복지 천국을 가다 : 행복한 자립이 있는 해외 재활 시설 탐방기2012 / 백경학 외 9인 지음 / 부키
장애인 복지 천국을 가다 : 행복한 자립이 있는 해외 재활 시설 탐방기2012 / 백경학 외 9인 지음 / 부키
장애여성의 삶과 복지2007 / 공미혜, 김경화, 김현지, 주경미 저 / 신정
같이 빌린 책
침묵의 봄2011 / 레이첼 카슨 지음 ; 김은령 옮김 / 에코리브르
수학을 읽어드립니다: 수학과 코딩을 가르치는 별난 영문과 교수의 특별하고 재미있는 수학이야기2021 / 지음: 남호성; 본문 일러스트: 최광렬 / 한국경제신문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 수학자 아버지가 들려주는 수학으로 본 세계2017 / 지음: 오구리 히로시, 옮김: 서혜숙, 고선윤 / 바다
누구나 꽃이 피었습니다 : 영화보다 재미있는 현실 인권 이야기2019 / 지음: 김예원 / 이후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 한국에서 이주자로 살아가기2014 / 김현미 지음 / 돌베개
컬처코드 : 세상의 모든 인간과 비즈니스를 여는 열쇠2007 / 지은이: 클로테르 라파이유 ; 옮긴이: 김상철, 김정수 / 웅진씽크빅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2017 / 지음: 리베카 솔닛 ; 옮김: 김명남 / 창비
(김정미) 우리나라 꽃그림2017 / 지은이: 김정미 / 아메바
일상, 과학다반사 : 세상을 읽는 눈이 유쾌해지는 생활밀착형 과학에세이2019 / 지음: 심혜진 / 홍익출판사
개그맨 : 김성중 소설집2011 / 지음: 김성중 / 문학과지성사
15° : 미묘한 차이2017 / 김하나 글·그림 / 청림출판
다문화복지론 = Multicultural social work2013 / 공저자: 김동진 ; 박인아 ; 윤구원 /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