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2009년 가을~2015년 초까지 도쿄.서울.뉴욕 길에서 만난 소수자 마을 이야기. 일본의 반전.반빈곤 활동, 오키나와 미군기지 반대활동, 야숙자들의 공원 점거 활동, 재일조선인 코뮌과 인종주의적 차별, 3.11 이후 탈원전.반원전 활동 등의 기록이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프롤로그 ‘이후’와 ‘계속’ 사이에서 : 듣고―쓰기 통신 2009~2015 9
1장 다시, 코뮌을 듣다
2009년 6월 서클 『진달래』의 진달래는 붉다 : 재일조선인 서클지 『진달래』 심포지엄
2009년 7월 ‘마을’을 시작하는 법 : 다니가와 간과 1950년대 서클마을
2009년 8월 야스쿠니 앞에서의 ‘광복’ : 2009년 8월 15일, 야스쿠니를 둘러싼 사건들
2009년 9월 폐를 끼치면서, 비로소, 살고 싶다 : 야숙자 마을 ‘가마가사키’에서
2009년 10월~11월/ 신주쿠 246번지, ‘거리―밥상’에 초대합니다 : 이주노동자 민우 씨와 야숙자의 〈246키친〉
2009년 12월 만국의 루저들이여, 속이 후련한 축제를! : 고엔지의 ‘아마추어들의 반란’
2010년 2월 자치 기숙사, 학생 공동체의 갈라파고스 : 교토대학의 “요시다” 자치 기숙사
2010년 3월 지식게릴라들의 대학제도 이용법 : 비정규대학 〈지하대학〉에서 다큐멘터리 〈철학에의 권리〉를 보고
2010년 4월 싸우면서 태어나는 미야시타 마을 : 미야시타 공원의 나이키화를 막기 위한 싸움
2010년 5월 정치적 계절‘들’과 마을 : 일본의 〈자유와 생존의 메이데이〉
2장 파국에서 시작되는 코뮌
2011년 1월~2월 무서워하는 마을에서 무서운 마을로 : “여자와 퀴어들의 외치는 모임”
2011년 3월 오키나와와 연대의 온도차, 마을은 마을을 들을 수 있을까? : 신죠 이쿠오의 『오키나와를 듣는다』에 부쳐
2011년 4월 떠나온 자와 떠나는 자들 : 3월 11일 일본 대참사, 그리고 이동과 만남의 문제
2011년 5월 3·11 이후, 드러나는 우리‘들’ 차이‘들’ : 불안은 새로운 분노가 되어 가고 있다
2011년 6월 나의 ‘애착’이 너의 ‘애착’과 만날 수 있을까? : 6·11 탈원전 데모, 공통의 언어를 찾아서
2011년 7월~8월 이제, 깊은 땅속에는 ‘불확실성’이 묻혀 있다 : 3월 11일의 재해 이후 일어난 감수성의 변화
2011년 10월 반년 후의 마을이, 40년 지속한 마을에게~ : 3월 11일 이후 반년이 흐른 시점에
2011년 11월 그녀들은 운다 : ‘불안해하는’ 여성들의 ‘불안하게 하는’ 점거
2011년 12월 점거 텐트, 그 마을들의 노래
3장 거리로 나온 소수자들
2012년 2월 ‘이곳’에서 ‘저곳’과 함께하는 방법 : 생존 그 이상을 상상하는 야숙자들의 월동준비
2012년 3월 ‘그날’을 정당하고 아름답게 살기 위해서 : 2012년 3월 11일, 지진 쓰나미 원전 사고 1주기
2012년 4~5월 그림자에 그늘질 때 : 3·12 후쿠시마, 5·15 오키나와, 그리고 이토 다리 퍼포먼스
2012년 5월 ‘잡민’들의 메이데이 : 2012년 〈자유와 생존의 메이데이〉
2012년 6월 마치 정부가 없는 것처럼……! : 제5회 〈윤타쿠 다카에〉(6월 17일)의 총천연색 에너지
2012년 7월 사라지지 않는 무한대―우리‘들’ : 6·11 야숙자 추방에 항의하며
2012년 8월 視衆 ― ‘우리’는 ‘우리’의 목격자 : 수상관저 탈원전 집회, 8월 10일을 중심으로
2012년 9월 지킴이, 가장 내재적인 외부세력 : 두물머리 지킴이 친구와 만난 날
2012년 12월 귀속―귀향 없는 ‘자기 결정권’과 ‘생활권의 공유’ : 오키나와 “복귀” 40년과 야숙자 추방을 생각하며
2013년 1월 그곳엔 긍지가 있다, 너무나 자연스럽게! : 요요기 블루텐트와 다테가와 블루텐트의 월동준비
4장 다시, 심화된 인종주의 속에서
2013년 3월 우리 집 앞, 보이지 않는 그녀들, 비밀들 : 재능교육 특수고용노동자, 위안부 할머니들
2013년 4월 ‘네’ 이야기를 들어 봐! 재해 속 사이렌의 침묵을 듣는 법 : 〈아워 플래닛 TV〉 아마추어 다큐멘터리 상영회
2013년 6월 ‘그들’로부터 멀리 : 2013년 4월에서 6월까지의 어떤 감정
2013년 8월 ‘내 친구에게 손대지 마라!’ 속 ‘친구’가 친구에게 : 차별 철폐 도쿄 대행진과 9·23 액션 “용서 못 해! 차별 배타주의”
2013년 11월 우리는 ‘우리의’ 가면을 쓴다 : 〈가면의 붉은 숨〉 표현 행동을 보고
2013년 12월 우리‘들’의 비밀을 되찾는 주문, ‘A 씨가 나다’ : 〈특정비밀보호법〉(12월6일) 강행 체결의 시간
2014년 4월 전 세계적 우경화 속 특수성을 ‘듣고―쓰는’ 법 : 인터뷰 「일본 대학에서 재일조선인 여성 강사가 강의하는 법」 1, 2에 대하여
2014년 8월~2015년 1월 무엇이 ‘블랙’인가? : 인종주의에 대항한 뉴욕의 블랙 운동, 2014.8.~2015.1.의 기록
2015년 3월 ‘~이후 시간’들의 아카이브 : ‘저곳’에서 ‘이곳’을 말하기
에필로그 끝나며 시작하는 글 : 어떤 긴장감 속의 2015.4.11.~8.13.
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