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루쉰전집』을 발간하며
ㆍ중국소설사략
제기
서언
제1편 사가(史家)의 소설에 대한 기록과 논술
제2편 신화와 전설
제3편 『한서·예문지』에 실린 소설
제4편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한대 소설
제5편 육조의 귀신 지괴서 (상)
제6편 육조의 귀신 지괴서 (하)
제7편 『세설신어』와 그 전후(前後)
제8편 당대의 전기문(傳奇文) (상)
제9편 당대의 전기문 (하)
제10편 당대의 전기집과 잡조(雜俎)
제11편 송대의 지괴와 전기문
제12편 송대의 화본(話本)
제13편 송·원의 의화본(擬話本)
제14편 원·명으로부터 전래되어 온 강사(講史) (상)
제15편 원·명으로부터 전래되어 온 강사 (하)
제16편 명대의 신마소설(神魔小說) (상)
제17편 명대의 신마소설 (중)
제18편 명대의 신마소설 (하)
제19편 명대의 인정소설(人情小說) (상)
제20편 명대의 인정소설 (하)
제21편 명대의 송대 시인소설(市人小說)을 모방한 소설과 후대의 선본(選本)
제22편 청대의 진당(晋唐)을 모방한 소설과 그 지류
제23편 청대의 풍자소설
제24편 청대의 인정소설
제25편 청대의 재학소설(才學小說)
제26편 청대의 협사소설(狹邪小說)
제27편 청대의 협의소설(俠義小說) 및 공안(公案)
제28편 청말의 견책소설(譴責小說)
후기
ㆍ중국소설의 역사적 변천
제1강 신화에서 신선전까지
제2강 육조 시기의 지괴(志怪)와 지인(志人)
제3강 당대의 전기문
제4강 송대 사람의 ‘설화’와 그 영향
제5강 명대 소설의 양대 주류
제6강 청대 소설의 4대 유파와 그 말류
루쉰의 중국소설사학(中國小說史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옮긴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