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제1부 극동으로
1장 미지의 세계 1. 1700년 이전, 서구 세계의 극동 인식 2. 조선왕조의 세계 인식
2장 19세기 동아시아 정세 1. 동아시아 3국의 개항 2. 서구 열강의 식민지 쟁탈전 3. 일본 측 주장의 모순
제2부 지도 제작과 지도 정보의 교류
3장 서구 세계에 전해진 한국의 섬들 1. 러시아-청나라의 충돌과 청나라의 지도 제작 2. 극동에 관한 지리 정보의 유럽 전파
4장 서구인의 동해 탐사와 지도 제작 1. 라페루즈의 항해와 울릉도의 발견 2. 신구 지리지식의 혼동기
5장 최신 지리 정보의 채택 1. Fan ling tao와 Chian chan tao는 없는 섬인가? 2. 독도의 등장과 지리 정보의 보완 3. Argonaut 섬은 어디에 있나? 4. 울릉도·독도 지도의 완성
제3부 기술적 오류와 인식의 퇴보
6장 일본의 지도 제작과 독도에 대한 무지 1. 일본의 세계지도 제작 2. 일본의 영국 지도 모사와 독도 누락 3. ‘량코도(りゃんこ島)’는 일본 고유의 명칭인가?
7장 19세기 일본지도에 독도는 없다 1. 무비판적인 서양 지도의 모사 : 독도 누락 2. 조선지도의 영향 : 두 개의 울릉도 3. 일본의 전통적 인식 틀 :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의 영역
8장 일본의 독도 인식과 영유권 문제 1. 일본의 독도(일본명 : 다케시마) 불법 편입(1905) 2. 일제강점기, 일본의 독도 인식
에필로그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