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한국어판 서문. 청나라 역사 이해의 관건: ‘정통성’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서론 ‘한화漢化 모델’의 득과 실, 그리고 ‘강남’의 복잡한 의미
제1장 잔산잉수의 비유와 청초 사인들의 처세
1절 잔산잉수의 비유: 남송과 명말
2절 잔산과 잉수 사이: ‘출사’와 ‘은거’의 이중적인 어려움
제2장 예제질서의 재건 및 ‘사-군’ 관계의 재정리
1절 잔산잉수를 수습하다: 풍속이 바뀐다는 것의 의미
2절 사士―군君 교화 역할의 전환
제3장 중생을 이롭게 하려는 노력과 사풍의 전환
1절 복사復社 ‘잔당’ 여유량
2절 유민의 ‘벗을 사귀는 도道’와 생계 선택
3절 서로 다른 주자朱子의 ‘옹호자’
4절 ‘요주의 시문 평선가’ 여유량의 다중적인 신분
제4장 문과 질에 대한 구분: 황제와 사림의 사상 동향과 합류(상)
1절 왕조 교체 시기 사인의 생활 모습과 ‘문질지변文質之辨’의 흥기
2절 문질론의 재구성과 ‘이하지변’의 분쟁사
제5장 문과 질에 대한 구분: 황제와 사림의 사상 동향과 합류(하)
1절 황제의 ‘문질론’에 대한 대응 및 사림 여론과의 합류
2절 청 황제는 강남 풍조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제6장 청조 정통관의 확립과 역사 서술
1절 ‘정통론’ 계보에 대한 개략적 설명
2절 ‘도통’의 의미에 대한 판별·변경·탈취
3절 역사 편찬 체계 중의 군왕과 사인
4절 유민 사학史學에 내재된 정신의 집단적 붕괴
제7장 ‘경세’ 관념의 변천과 청나라 ‘대일통’ 역사관의 구조
1절 ‘사언私言’은 어떻게 황실의 ‘공언公言’으로 전환되었나
2절 ‘관리와 스승은 하나’라는 복고의 진상
3절 왜 ‘주공’을 숭상하고 ‘공자’를 낮게 평가하는가
4절 관리를 스승으로 삼다: 지방지 편찬과 대일통의 문화적 구성
제8장 문자는 어떻게 옥사가 되었는가
1절 “은거를 핑계로 불교로 귀의한다”고 반드시 “모두 피안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절 역서逆書의 색출과 ‘사람 다루는 기술’
결론_ 하나의 장소, 네 가지 문제
후기
주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