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한국의 과학과 문명〉총서를 펴내며
저자 서문
서론
1장 전통 지리학의 내용과 성격
1절 전통 지리학의 사상적 기초
1. 전통적 천지관과 세계관
2. 풍수적 지리 인식
2절 전통 지도학의 특성
1. 지도 제작의 사회사
1) 제작의 주체
2) 제작과 이용의 목적
3) 지도의 유통과 관리
2. 지도화의 문화사
1) 지도화의 정량적, 과학적 특성
2) 지도화의 정성적, 예술적 특성
3절 전통 지지학의 범위와 성격
1. 전통 시대 지지학의 특성과 유형
2. 한·중·일 지지의 특징 비교
2장 조선시대 이전의 지리학
1절 선사시대의 암각화와 공간 표현
2절 삼국시대의 지리학
1. 삼국시대의 지리학
1) 고구려의 지도학
2) 백제의 지도학
3) 신라의 지도학
3절 고려시대의 지리학
1. 고려시대의 지도학
2. 고려시대의 지지학
3장 조선전기의 지리학
1절 조선전기의 지도학
1. 조선의 건국과 지도 제작
1) 왕조의 개창과 세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2) 국토의 파악과 전도 제작
3) 외국 인시의 표현 :『해동제국기』의 지도
2. 성리학 이념의 정착과 지도 제작
1) 성리학적 세계 인식과 『혼일역대국도강리지도』
2) 성리학적 국토 인식과 지도 제작
2절 조선전기의 지지학
1. 조선의 개국과 실용적 지지학
1) 『신찬팔도지리지』와 『경상도지리지』
2) 『세종실록』「지리지」
3) 『고려사』「지리지」
4) 『팔도지리지』와 『경상도속찬지리지』
5) 외국에 관한 지지: 『해동제국기』
2. 성리학의 정착과 지지학 :『신증동국여지승람』
4장 조선후기의 지리학
1절 조선후기의 지도학
1. 서양 지리 지식의 도입과 그 영향
1) 17세기 서양 지리 지식의 도입과 지도 제작
2) 서양 지리 지식의 영향
3) 전통으로의 회귀: 원형 천하도
2. 국토 인식의 진전과 조선전도
1) 전란의 극복과 지도의 제작
2) 정상기의『동국지도』
3) 대축척 조선지도의 제작
3. 지도 제작의 다양화
1) 국방의 중시와 관방지도
2) 지역의 개성적 표현과 군현지도
3) 왕권의 상징과 도성도
4) 주변국에 대한 인식과 외국 지도
5) 기타 다양한 유형의 지도
4. 조선 지도학의 완성 : 김정호의 지도학
1) 지도사적 배경
2) 김정호의 지도 제작
3)『청구도』와『동여도』의 체제와 내용
4) 목판본『대동여지도』의 특징
2절 조선후기의 지지학
1. 지방의 사찬 지지서 출현
2. 중앙정보 주도의 지리지 편찬
1) 영조, 정조 시기 관찬 지리지의 편찬
2) 19세기의 관찬 지지서
3. 실학의 부흥과 지지학의 다변화
1) 역사지리 계열의 지지학
2) 주제 중심의 지지학
4. 국토 정보의 체계화와 전국지리지
1) 유형원의『동국여지지』
2) 이중환의『택리지』
3) 김정호의 전국지리지 :『동여도지』,『여도비지』,『대동지지』
5. 세계에 대한 관심과 세계지리지
1) 세계지리지의 선구 : 이수광의『지봉유설』
2) 위백규의『환영지』
3) 서명응의「위사」
4) 최한기의『지구전요』
5장 근대적 지리학의 도입과 한계
1절 측량 기술의 도입과 근대적 지도 제작
1. 일본의 측량 침략 과정
2. 양지아문의 설치와 측량
3. 개항기 근대적 지도의 맹아
2절 근대적 지리학의 맹아
1. 개항기의 지리서
1) 유길준의『서유견문』
2) 오황묵의『여재촬요』
3) 헐버트의『사민필지』
2. 대한제국 시기의 지지학
1)『초학디지』
2)『디구략론』
3) 현채의『대한지지』
4) 장지연의『대한신지지』
5) 김홍경의『중등만국신지지』
6) 원영의의『조선산수도경』
결론
주석
표 및 도판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