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간행사
들어가며
1부 근대 인식과 ‘조선학’의 사상
일제하 신남철의 보편주의적 역사인식과 지식인 사회 비판 / 이태훈
1. 서론
2. 학적기반과 보편주의적 철학인식의 형성
3. 조선학연구론과 특수성 비판
4. 보편주의적 역사인식과 지식인사회 비판
5. 결론
爲堂 鄭寅普의 實學인식과 학문주체론-「陽明學演論」을 중심으로- / 정덕기
1. 서론
2. 虛學 비판의 대상과 과제
3. 양명학 계보화의 함의와 학문적 주체성의 강조
4. 결론
민족 개념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그것이 의미하는 것 / 이태훈
1. 들어가며
2. 민족 개념의 등장과 형성과정
3. ‘민족’과 ‘국민’의 정치학
4. 다시 생각해봐야 할 것들
2부 ‘근대학문사상과 조선연구의 방법’
한말 개혁기 민법 제정론의 갈등과 ‘한국 관습’의 이해 / 왕현종
1. 서론
2. 갑오개혁 이후 대한제국 전기(1894~1904) 근대 법률 제정과 법제 변화
3. 대한제국 후기(1905~1910) 근대 민법 제정론의 확산과 갈등
4. 한국 법률 전문가의 근대 법률 제정 논리와 ‘한국 관습’의 이해
5. 결론
조선후기 역사지리연구의 계승과 식민주의적 변용-현도군의 위치비정을 중심으로- / 이준성
1. 머리말
2. 조선후기 역사지리연구의 흐름
3. 18세기 중엽 이후 역사지리연구에서의 현도군
4. 역사지리연구의 식민주의적 변용
5. 맺음말
안재홍의 인류학 이론 수용과 조선 상고사 연구-「朝鮮上古史管見」을 중심으로- / 채관식
1. 서론
2. 인류학 이론의 수용과 「朝鮮上古史管見」집필
3. 조선 상고사 연구와 민족문화 인식의 정립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