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일제 식민시대 해방 이후 한반도와의 이해관계에서 한 치도 물러서지 않으려는 열강들 사이에서 남과 북, 두 개의 한국은 정치적 생존을 위해, 그리고 보다 유리한 고지로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분투해왔던 것이다.
목차
역자의 말
신판 서문
서문
제1장 | 철새들의 보금자리 DMZ
분단의 시작
한국전쟁과 그 여파
남북 협상의 기원
김일성(金日成)
남북대화 개시
제2장 | 시작과 종말
박정희(朴正熙)
유신 쿠데타와 워싱턴의 묵인
10월 유신의 영향
제3장 | 깊어지는 갈등
고조되는 긴장감
일본과의 갈등
땅굴 전쟁
북으로부터의 도전
사이공의 메아리
남한의 핵개발 프로그램
판문점 도끼 살해사건
제4장 | 카터가 몰고 온 찬바람
카터의 철수론:그 기원과 실행
북한의 입장
주한미군 철수론의 종언
제5장 | 대통령 암살과 그 이후
고조되는 국내 불안
전두환(全斗煥)의 등장
광주민주화항쟁
김대중(金大中) 구명 운동
제6장 | 북한의 테러공작과 남북대화
협상으로 가는 길
수재(水災), 그리고 남북대화
김일성과 소련 커넥션
제7장 | 남한의 민주화 투쟁
전두환의 후임을 둘러싼 갈등
1987년 대통령 선거
제8장 | 서울올림픽의 국제적 위상
다가오는 88 서울올림픽
KAL 858 폭파사건
북방정책의 부상
미국의 신중한 대북(對北)정책
제9장 | 소련의 對 한반도 정책 선회
변화의 근원
韓-蘇 정상회담
셰바르드나제의 임무
붉은 기는 얼마나 더 나부낄 것인가?
韓-蘇 경제 협상
제10장 | 중국의 對 한반도 정책 변화
필자의 북한 방문
중국의 노선 변경
제11장 | 핵개발 논쟁에 휘말린 북한
북한 핵무기 개발의 기원
핵 외교: 미국의 협상무기
첫 번째 단계
12월 남북기본합의서
뉴욕회담
핵사찰단의 북한 방문
첫 사찰
핵사찰 수용에서 위기로
제12장 | 탈퇴와 협상
경수로 협상
제재에 나선 김영삼
위기가 도래하다
제13장 | 핵무기를 둘러싼 막판 대결
‘사용후 핵연료봉’ 위기
군사적 행동
깊어가는 갈등
평양으로 간 카터
제14장 | 김일성의 죽음, 그리고 합의
한 시대의 종말
김정일(金正日)의 권력승계
제네바 기본 합의
제네바 합의에 대한 반응
김정일 정권
평양 방문
원자로를 둘러싼 분쟁
제15장 | 위기의 북한
정치적 격동에 휩싸인 서울
정상외교와 4자 회담 제의
잠수함 침투사건
무너지는 북한
황장엽(黃長燁)의 선택
남과 북의 시련
제16장 | 화해의 손길
하늘 높이, 땅 깊숙이
원조로 연명해 가는 나라
페리 조정관이 던진 밧줄
6월 정상회담의 추진
평양에서 만난 두 정상
미국과 손을 잡는 북한
제17장 | 제네바 합의의 파기
위태로운 출발
9.11의 충격
꿰어지는 실타래: 북-일 회담
서서히 벼랑 끝으로
김정일의 개혁을 향한 열망
동요하는 미국
다음 날 아침
제18장 | 한미 안보동맹의 문제점
외교정책상 문제
햇볕정책의 끝자락
고조되는 긴장감
6자회담이라는 신기루
핵무기의 등장
우왕좌왕한 1년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의 해체
북한의 미사일 발사, 마침내
풍계 핵실험
제19장 | 새 옷을 입고 등장한 후계자
승계의 움직임
외교전선의 후퇴
끔찍한 출발
클린턴 방북
남한으로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 그러나 세 번째는 없었다
비밀회담, 공개적 충돌
중국의 커지는 영향력
흔치 않은 반발
연평도
김정일의 죽음과 그 이후
새로운 모습
후기 | 후기
양국의 새로운 지도자들
높아진 장벽
중국이라는 그늘
불안한 평화
주요한국인명
감사의 말씀
서평1
서평2
주석 및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