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한국문화연구단 산하의 기획연구 ‘신이와 이단의 문화사’팀에서 내놓는 첫 번째 공동연구 성과물이다. ‘신이와 이단의 문화사’팀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전통문화를 연구하는 여러 분야의 전공자들이 함께 모여 만든 공동연구팀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개념과 유형
일본의 유령․요괴-연구사와 일본인의 괴이관(怪異観) 변천 사에키 다카히로 1. 유령․요괴의 연구사 2. 이계(異界)와 타계(他界) 3. 유령관의 변화-무섭지 않은 존재에서 무서운 존재로 4. 맺음말
일본의 괴담을 생각한다-괴담사 구축을 위한 비망록 고마쓰 가즈히코 1. 머리말 2. 괴담의 씨앗 3. 괴이의 원인을 기준으로 한 세 가지 괴담의 유형 4. ‘괴담’이라고 하는 문예 장르의 성립 5. 괴담문학의 걸작 우게쓰 모노카타리[雨月物語] 6. 맺음말
중국의 요(妖)․괴(怪)․정(精) 이야기의 분류 서화룡 1. 머리말 2. 요(妖), 괴(怪), 정(精)의 분류 및 공통점 3. 요․괴․정 이야기의 특징과 그 함의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 강상순 1. 머리말 2. 조선시대 필기․야담류에 나타난 귀신들의 세 유형 3. 제1유형-종법적 가족질서를 보충하고 지탱하는 초자아로서의 귀신들 4. 제2유형-사회적 억압과 갈등의 뒤틀린 메시지(증상)로서의 귀신들 5. 제3유형-성리학적 상징질서에 포획 불가능한 낯선 실재로서의 귀신들 6. 맺음말
제2부 귀신론과 귀신담
귀신론과 귀신이야기의 관계 고찰을 위한 시론 윤주필 1. 머리말 2. 귀신론의 유래와 의미 3. 귀신이야기에 나타나는 귀신의 범주 4. 맺음말
조선시대 유교적 귀신론의 전개 박종천 1. 귀신론의 성격과 접근방법 2. 유교적 귀신사생론의 사상적 배경 3. 여말선초 유교적 귀신론의 정립 4. 조선 중기 유교적 귀신론의 심화 5. 조선 후기 귀신사생론의 분화 6. 조선시대 유교적 귀신사생론의 특징과 의의
제3부 적대와 욕망의 서사
원귀의 해원 형식과 구조의 안팎 조현설 1. 원귀 서사와 정신분석학 2. 해원의 두 형식과 두 주체 3. 원한의 승화와 상징계의 재구조화 4. 원귀 서사와 남성지배의 안팎
17, 18세기 한중(韓中) 귀신․요괴담의 일탈과 욕망 김정숙 1. 머리말 2. 천예록과 학산한언-일탈에의 욕망과 억압의 논리 3. 요재지이(聊齋志異)와 자불어(子不語)-기괴에의 도취, 불온한 상상력 4. 맺음말-한중(韓中) 귀신, 요괴담의 차이와 의미
근세기의 한일 여성 괴담-「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과 「가사네[累] 괴담」을 중심으로 고영란 1. 머리말 2. 근세기 한일 괴담 속 「장화홍련전」 및 「가사네 괴담」 3. 「장화홍련전」과 시료게다쓰모노가타리 기키가키의 전개 양상 4. 맺음말
제4부 이물(異物)의 사회문화사
한․중․일 여우 이야기의 비교학적 고찰 김지선 1. 머리말 2. 고대 문헌에 나타난 여우의 형상 3. 한․중․일 설화에 나타난 여우 형상의 다면성 4. 맺음말
이류(異類)는 어떻게 사람이 되는가?-중국 대중문화의 이류연애담(異類戀愛談) 수용을 중심으로 문현선 1. 머리말 2. 이류연애담(異類戀愛談)이란? 3. 중국 대중문화(1979~2008)에서의 이류연애담 4. 대중문화 이류연애담의 서사변용 5. 맺음말
필자소개
서가브라우징
패스트푸드의 제국2001 / 에릭 슐로서 지음 ; 김은령 옮김 / 에코리브르
29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문화의 지형도2007 / 김기봉 외 20명 공동집필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대중문화와 문화연구2002 / John Storey 저 ; 박만준 역 / 경문사
다른 세상에서2003 / 가야트리 스피박 저 ; 태혜숙 역 / 여이연
변혁과 샬롬의 대중문화론2004 / 신국원 지음 /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다문화주의는 국가 자살이다 : 메르켈과 캐머런 등이 실패를 선언한 다문화주의를 왜 대한민국은 맹신하는가? 2023 / 지음: 신만섭, 오세라비, 류병균 / 국민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