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만 년 동안 기회가 있었는데도 왜 인간과 같은 지적 능력을 갖춘 코끼리나 돌고래는 없을까? 저자들에 따르면 우리가 지구상에서 독보적인 존재로 진화한 것은 뇌의 발달 같은 생물학적 이유가 아니라 심리적인 이유, 즉 죽음에 대한 부정을 비롯해 현실을 부정하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이 그 원동력이라는 것이다.
목차
들어가며: 꾸민 것 같지만 진실인 이야기
1 우리는 어디에서 왔으며 어떻게 여기에 이르게 되었는가? 2 어떻게 인간은 똑똑해졌는가? 3 공짜 점심이나 공짜로 얻는 똑똑함은 없다 4 인식의 여러 수준 5 벽 6 벽을 돌파하기 7 현실 부정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8 현실 부정이 만연하다는 증거 9 너무 똑똑해도 탈 10 두 가지 미래 이야기: 당신은 비관주의자인가, 낙관주의자인가? 11 현실 부정의 긍정적 측면 12 불가사의한 인류의 기원 설명하기 13 앞으로의 방향
에필로그 핵심 요약 감사의 말 주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미생물이 플라톤을 만났을 때 : 생물학과 철학의 우아한 이중주2019 / 지음: 김동규, 김응빈 / 문학동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 한다지? : 속담, 고사성어, 관용구2015 / 권오길 지음 / 지성사
생물학 명강. 12013 / 강문일 [외]지음 / 해나무
생물학 명강. 2, 생명의 탁월성, 그 원리를 찾아서2014 / 강봉균 외 지음 / 해나무
생물학 명강. 3, 세포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주는가2015 / 고기남 [외]저, 신인철 카툰,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기획 / 해나무
리처드 도킨스 자서전. 1, 어느 과학자의 탄생2016 / 지음: 리처드 도킨스 ; 옮김: 김명남 / 김영사
리처드 도킨스 자서전. 2, 나의 과학 인생2016 / 지음: 리처드 도킨스 ; 옮김: 김명남 / 김영사
부정 본능 :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고 잘못된 믿음을 가지며 현실을 부정하도록 진화했을까2015 / 아지트 바르키, 대니 브라워 [공]지음 ; 노태복 옮김 / 부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