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펴내며
제1장 경북사람이 펼친 독립운동의 위상
제1절 경북사람이 펼친 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의미
제2절 퇴계학맥의 근대적 전환
제3절 한국독립운동과 경북 북부지역의 전통 명가
제4절 한국독립운동과 경북 여성
제2장 척사유림의 의병항쟁 전개와 자정순국
제1절 경북지역 의병연구의 성과와 과제
제2절 예안 宣城義兵과 온혜마을 인물의 역할
제3절 안동 오미마을의 『乙未・丙申日錄』
제4절 안동유림의 자정순국 투쟁
제3장 혁신유림의 등장과 계몽운동
제1절 경북유림이 펼친 계몽운동
제2절 안동 協東學校와 독립운동
제4장 3・1운동과 유림단의거
제1절 김천지역의 3・1운동
제2절 성주지역의 독립운동과 성격
제3절 제2차 유림단의거 연구 - 金昌淑의 활동을 중심으로
제5장 사회주의 유입과 민족운동
제1절 안동유림의 좌우분화와 1920년대 민족운동
제2절 안동 가일마을 사람들의 항일투쟁
제3절 안동 부포마을 사람들의 항일투쟁
제6장 안동의 독립운동 사료조사와 역사문화자원 만들기
제1절 안동지역 독립운동 사료발굴과 기념사업
제2절 안동 내앞마을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생가 터 조사연구
부록 의병자료 해제
명가의 종손이 전하는 안동지역 을미의병의 전말
龜山 權濟寧의 「サ義中日記」
「安東下吏通文」해제
영남출신 독립운동가들이 남긴 서신들 『독립운동가 서한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