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김춘수의 시 '꽃'에 나오는 꽃은 과연 무슨 꽃이었을까? 심청은 세상에 다시 올 때 왜 연꽃을 타고 왔을까? 매일 아침 KBS 클래식 FM [출발 FM과 함께]에서 세상의 온갖 것에 호기심을 갖고 수많은 청취자들에게 정말 뜬금없이 문득 물었던 화제의 코너, '문득 묻다'를 책으로 엮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여는 글

Chapter 01 꽃을 보다… 문득, 묻다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꽃은 무슨 꽃일까?
김유정의 《동백꽃》에 나오는 노란 동백꽃은 동백꽃이 맞을까?
모란꽃에 정말 향기가 없을까?
함박꽃은 어떤 꽃일까?
왜 수선화가 매화보다 한수 위라고 했을까?
튤립은 어쩌다 투기의 대상이 됐을까?
화려하지 않은 장미꽃도 있을까?
아카시아가 맞을까, 아까시가 맞을까?
거리의 화단에 핀 양귀비꽃은 진짜 양귀비꽃일까?
영연방에서 양귀비꽃을 가슴에 다는 이유는 무엇일까?
연(蓮)의 씨앗은 천 년이 지나도 어떻게 꽃을 피울까?
심청은 세상에 다시 올 때 왜 연꽃을 타고 왔을까?
가냘픈 꽃 코스모스에 왜 우주(cosmos)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반달에 사는 계수나무는 어떤 나무일까?
국화는 왜 봄이 아니라 가을에 필까?
대나무에도 꽃이 필까?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일까, 억새일까?
꽃은 왜 필까, 왜 예쁠까?
꽃은 어디에서 필까?
밤송이에는 왜 가시가 있을까?
너도밤나무와 나도밤나무는 밤나무일까, 아닐까?
<겨울 나그네>의 보리수는 어떤 나무일까?
저승의 서천꽃밭에는 어떤 꽃들이 피어 있을까?

Chapter 02 먹고 마시다… 문득, 묻다
<최후의 만찬>에 나온 메인 요리는 무엇일까?
외롭고 우울하면 왜 더 많이 먹을까?
레스토랑과 식당은 원래 어떤 곳이었을까?
우리나라에서 왕의 음식을 최초로 판매한 음식점은 어디일까?
탕평채는 탕평책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
동파육은 소동파와 무슨 관계가 있을까?
로시니는 정말 송로버섯 때문에 은퇴했을까?
추사가 즐겨 마신 초의차는 어떤 차일까?
<도깨비 방망이>에 나오는 개암은 무슨 열매일까?
<커피 칸타타>를 작곡한 바흐, 실제로 커피를 즐겨 마셨을까?
에티오피아에 커피가 있을까?
크루아상은 어느 나라에서 처음 먹었을까?
마리 앙투아네트가 빵이 없으면 먹으라고 한 과자는 무엇일까?
예루살렘에는 왜 치즈버거가 없을까?
밸런타인데이에 왜 초콜릿을 선물할까?
사랑의 묘약의 정체는 무엇일까?
신화에 나오는 신비의 음료에는 무엇이 있을까?
2억 년 전의 식물 중 우리가 지금도 먹는 것은 무엇일까?
최초의 숟가락과 젓가락은 무엇이었을까?
아귀는 왜 이름이 아귀일까?
마녀의 수프는 어떻게 만들까?
왜 제사상에 복숭아를 올리면 안 될까?
세계사 속 명장면에 사과는 어떤 의미로 등장할까?

Chapter 03 말하다… 문득, 묻다
작심삼일이라는 말은 어떻게 나왔을까?
말짱 도루묵에서 도루묵은 무슨 뜻일까?
춘래불사춘, 왜 봄이 와도 봄이 아니라고 할까?
화촉을 밝힌다, 화촉은 무엇으로 만들까
마누라, 아내를 낮잡아 부르는 말일까?
도리도리 까꿍은 무슨 뜻일까?
삼천갑자 동방삭, 어떻게 죽었을까?
승리의 여신은 누구일까?
봉이 김선달은 실제 있었던 인물일까?
왜 덕수궁 돌담길을 걸으면 헤어진다고 할까?
징크스, 정체가 무엇일까?
천고마비, 정말 가을에 말이 살찔까?
하루살이 같은 인생, 하루살이는 하루만 살까?
난장판과 아수라장, 어떻게 다를까?
매너리즘은 빠지는 것일까, 그리는 것일까?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제대로 쓰는 말일까?
엎지른 물은 다시 담기 어렵다, 누가 처음 말했을까?
시니컬,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
사이비, 속어일까 아닐까?
혼돈, 정체가 무엇일까?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봉창은 무엇일까?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 개 풀 뜯어먹는 소리는 어떤 소리일까?
호랑이와 양반, 왜 제 말 하면 올까?
인생은 한 편의 연극과 같다, 사실일까?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 어떻게 탄생했을까?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평소의 발견 : 카피라이터 유병욱이 말하는 평소의 관찰, 메모, 음악, 밑줄 평소의 발견 : 카피라이터 유병욱이 말하는 평소의 관찰, 메모, 음악, 밑줄 2019 / 지음: 유병욱 / 북하우스
평소의 발견 : 카피라이터 유병욱이 말하는 평소의 관찰, 메모, 음악, 밑줄 평소의 발견 : 카피라이터 유병욱이 말하는 평소의 관찰, 메모, 음악, 밑줄 2019 / 지음: 유병욱 / 북하우스
없던 오늘 없던 오늘 2021 / 지음: 유병욱 / 북하우스
없던 오늘 없던 오늘 2021 / 지음: 유병욱 / 북하우스
퉤 뱉고 싶은 말  : [독립출판]  : 며느리가 삼킨 말들  퉤 뱉고 싶은 말 : [독립출판] : 며느리가 삼킨 말들 2020 / 지음: 유부유부 / 부크크(Bookk)
고마워 아리가또 땡큐 고마워 아리가또 땡큐 2011 / 유석규 지음 / 큰나무
고마워 아리가또 땡큐 고마워 아리가또 땡큐 2011 / 유석규 지음 / 큰나무
문득, 묻다 : 첫 번째 이야기 : 지성과 감성을 동시에 깨우는 일상의 질문들 문득, 묻다 : 첫 번째 이야기 : 지성과 감성을 동시에 깨우는 일상의 질문들 2015 / 지음: 유선경 / 지식너머
토요일 외로움 없는 삼십대 모임 : 유성원 산문집 토요일 외로움 없는 삼십대 모임 : 유성원 산문집 2020 / 지음: 유성원 / 난다
토요일 외로움 없는 삼십대 모임 : 유성원 산문집 토요일 외로움 없는 삼십대 모임 : 유성원 산문집 2020 / 지음: 유성원 / 난다
오늘의 퀴즈 : 아들, 너랑 노니까 너무 좋다. 진짜! 오늘의 퀴즈 : 아들, 너랑 노니까 너무 좋다. 진짜! 2019 / 지음: 유세윤, 유민하 / 미메시스
오늘의 퀴즈 : 아들, 너랑 노니까 너무 좋다. 진짜! 오늘의 퀴즈 : 아들, 너랑 노니까 너무 좋다. 진짜! 2019 / 지음: 유세윤, 유민하 / 미메시스
우리가 사랑한 내일들 우리가 사랑한 내일들 2021 / 지음: 유선애 / 한겨레출판
우리가 사랑한 내일들 우리가 사랑한 내일들 2021 / 지음: 유선애 / 한겨레출판
나답게 쓰는 날들: 어느 에세이스트의 기록: 애정, 글, 시간, 힘을 쓰다 나답게 쓰는 날들: 어느 에세이스트의 기록: 애정, 글, 시간, 힘을 쓰다 2022 / 지음: 유수진 / 상상출판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 기분 따라 행동하다 손해 보는 당신을 위한 심리 수업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 기분 따라 행동하다 손해 보는 당신을 위한 심리 수업 2020 / 지음: 레몬심리 ; 옮김: 박영란 / 갤리온 :
신부 이태석: 톤즈에서 빛으로 신부 이태석: 톤즈에서 빛으로 2021 / 지음: 이충렬 / 김영사
블랙코미디 : 유병재 농담집 블랙코미디 : 유병재 농담집 2017 / 지음: 유병재 / 비채
한 달쯤, 런던  = London holiday 한 달쯤, 런던 = London holiday 2014 / 황소영 지음 / 봄엔
살아 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 살아 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 2004 / 탄쥐잉 저 ; 김명은 역 / 위즈덤하우스
어른 수업 : 마흔에 시작하는 진짜 어른의 삶 어른 수업 : 마흔에 시작하는 진짜 어른의 삶 2015 / 한근태...[등]지음 / 서울문화사
언제까지 일만 할 것인가? 언제까지 일만 할 것인가? 2013 / 백만기 지음 / 한국학술정보
해변의 카프카 1 해변의 카프카 1 2003 / 무라카미 하루키 저; 김춘미 역 / 문학사상사
(이상한 나라의) 스토리 영문법 (이상한 나라의) 스토리 영문법 2008 / 허병열 지음 / YBM Si-sa
딸의 자존감  : 엄마가 주고 싶은 최고의 선물 딸의 자존감 : 엄마가 주고 싶은 최고의 선물 2011 / 정은혜 지음 / 서울문화사
사람을 읽고 책과 만나다  : 말은 끝나도 뜻은 미처 끝나지 않는다 사람을 읽고 책과 만나다 : 말은 끝나도 뜻은 미처 끝나지 않는다 2019 / 지음: 정민 / 김영사
문득, 묻다 : 지성과 감성을 동시에 깨우는 일상의 질문들. 2, 인물·일상편 문득, 묻다 : 지성과 감성을 동시에 깨우는 일상의 질문들. 2, 인물·일상편 2015 / 지음: 유선경 / 지식너머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1996 / 조세희 著 / 文學과知性社
(청소년을 위한)한국미술사 : 삼국시대에서 근·현대까지 (청소년을 위한)한국미술사 : 삼국시대에서 근·현대까지 2005 / 박차지현 지음 / 두리미디어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2018 / 지음: 백세희 / 도서출판 흔
나에게 고맙다 : 가장 흔한 말, 정작 나에게 하지 못한 인사 : 책 읽어주는 남자의 토닥토닥 에세이 나에게 고맙다 : 가장 흔한 말, 정작 나에게 하지 못한 인사 : 책 읽어주는 남자의 토닥토닥 에세이 2016 / 전승환 지음 / 허밍버드 :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큰글자도서]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큰글자도서] 2021 / 글·그림: 김수현 / 마음의숲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2005 / 한비야 지음 / 푸른숲
책등에 베이다 : 당신과 내가 책을 꺼내드는 순간 책등에 베이다 : 당신과 내가 책을 꺼내드는 순간 2014 / 이로 지음 / 이봄
언어의 온도 언어의 온도 2017 / 지은이: 이기주 / 말글터
너에게 하고 싶은 말 너에게 하고 싶은 말 2016 / 김수민 글, 정마린 그림 / 쌤앤파커스
단 하루도 너를 사랑하지 않은 날이 없다 단 하루도 너를 사랑하지 않은 날이 없다 2018 / 지음: 김재식, 그림: 김혜림 / 쌤앤파커스
사랑하게 해줘서, 고마워 사랑하게 해줘서, 고마워 2019 / 지음: 김재식, 그림: 최청운 / 쌤앤파커스
나, 있는 그대로 참 좋다 나, 있는 그대로 참 좋다 2017 / 지음: 조유미, 그림: 화가율 / 허밍버드
빨강머리N 난 이래, 넌 어때?  : 보통의 어른들에게 안부를 묻는다 빨강머리N 난 이래, 넌 어때? : 보통의 어른들에게 안부를 묻는다 2017 / 최현정 글·그림 / 마음의숲
어쩌다 가방끈이 길어졌습니다만 어쩌다 가방끈이 길어졌습니다만 2020 / 지음: 전선영 / 꿈의지도
그럴 때 있으시죠? : 김제동과 나 우리들의 이야기 그럴 때 있으시죠? : 김제동과 나 우리들의 이야기 2017 / 지음: 김제동 / 나무의마음
1그램의 용기 : 앞으로 한 발짝 내딛게 만드는 힘 1그램의 용기 : 앞으로 한 발짝 내딛게 만드는 힘 2015 / 한비야 지음 / 푸른숲
찌질한 인간 김경희 : 남들처럼 사는 것과 나답게 사는 것 그 사이 어디쯤 찌질한 인간 김경희 : 남들처럼 사는 것과 나답게 사는 것 그 사이 어디쯤 2017 / 지음: 김경희 / 빌리버튼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3
40대2
50대2
60대0
70대1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3
2017년1
2018년1
2019년0
2020년0
2021년1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