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CDATA[[역사] 마약을 ‘악마의 선물’이라고 인식한 중세 시대와는 달리 16-18세기 근대 시대에 마약은 다시 대중화 되면서 아편은 인간의 고통을 구제하기 위한 ‘신의 선물’로 부활됐다. 특히 18-19세기 근대 산업혁명의 변화와 경쟁과정에서 아편은 긴장해소의 필수적 의약품으로 등장했다. 19세기 화학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의약품으 발달과전에서 모르핀, 코케인, 헤로인과 같은 반(半)화학합성 마약에 대한 소비가 급증했다.]]>
목차
서문
제1장 서론
제1절 인류의 역사와 마약의 역사
제2절 마약식물 및 마약의 종류
제2장 원시 시대(BC 10000-500)
제1절 신화와 마약식물
제2절 원시종교와 마약식물
제3장 고대 시대(BC 500-AD 500)
제1절 그리스 시대와 마약
제2절 로마 시대와 마약
제4장 중세 시대(AD 500-1500)
제1절 로마 가톨릭교와 마녀사냥
제2절 마녀사냥과 마약
제5장 근대 시대(1500-1800)
제1절 이성의 시대와 마약의 부활
제2절 동서교역과 아편무역
제6장 19세기(1800-1900)
제1절 화학발달과 합성 마약
제2절 합성 마약과 중독 개념
제3절 제국주의와 아편전쟁
제7장 20세기 전반(1900-1950)
제1절 1900년대 : 상하이아편위원회와 미국의 등장
제2절 1910년대 : 헤이그아편협약과 마약 불법화의 시작
제3절 1920년대 : 금주법과 미국 마피아의 형성
제4절 1930년대 : 프렌치 커넥션과 국제 마약밀매의 시작
제5절 1940년대 : 정치권력과 마약조직의 공생관계
제8장 20세기 후반(1950-2000)
제1절 1950년대 : 매카시즘, MK-ULTRA, 쿠바 커넥션
제2절 1960년대 : 반항문화운동, 환각제 혁명, 프렌치 커넥션
제3절 1970년대 : 마약과의 전쟁, 통제약물법, 피자 커넥션
제4절 1980년대 : 마약전의 군사화, 코케인과 크랙, 아프간 커넥션
제5절 1990년대 : 탈냉전, 조직범죄의 세계화, 글로벌 마약밀매
제9장 21세기와 전망
제1절 21세기 : 팔레르모 협약, 테러와의 전쟁, 멕시코 마약전쟁
제2절 21세기 국제 마약밀매의 구조
제3절 21세기 국제 마약밀매의 전망
제10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