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999년 출간된 <우리 옛 건축과 서양 건축의 만남>의 개정판. 건축에 관한 열여덟 가지 주제로 한국 건축의 특징을 짚어보고, 이와 비슷하면서도 상반된 특징을 가진 서양 건축과의 비교를 통해 인문적 성찰에 이르는 건축교양서이다. 한국 전통 건축과 서양 건축은 서로의 우월함을 견주는 이분법적인 대상이 아니라, 보다 대안적인 제3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서로 보완하고 함께 연구되어야 할 관계임을 자연스레 깨닫게 해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두 세계로의 초대
1부 건물 구성 요소
1 지붕과 처마 - 팔작지붕 vs. 형태주의 곡선지붕
하늘을 우러르고 땅을 굽어보다
2 나무와 기둥 - 개심사의 휜 나무기둥 vs. 바로크 건축의 꽈배기 기둥
휘고 굽은 못난 곡선이 아름답다
3 구조 미학 - 병산서원 만대루 vs. 로지에의 원시 오두막
가리지 않는 솔직함의 미덕
4 구성 분할과 추상 입면 - 한옥의 추상 입면 vs. 몬드리안의 추상화
기둥과 보가 그리는 한 편의 추상화
5 돌과 담 - 거친돌 막쌓기 vs. 콜라주
소박한 돌쌓기의 질서와 짜임새
6 문과 상징 - 은유의 사찰 산문 vs. 직설의 고딕 성당
때론 위엄 있게 때론 자유롭게
2부 건축의 구성 원리
7 남향과 방위 - 따뜻한 자연의 빛 vs. 미니멀리즘의 백색 빛
해와 땅의 기운을 읽다
8 인체와 척도 - 한국 전통 중정 vs. 팔라초와 광장
인간을 중심에 두는 배려, 휴먼 스케일
9 길과 여정 - 사찰 진입 공간 vs. 교회의 제단으로 가는 길
건축적 스토리 속을 걷다
10 계단과 축 - 봉정사 돌계단 vs. 라우렌티안 도서관 곡선 계단
오르고 되새기고 상상하고
11 대칭과 비대칭 - 소수서원의 비대칭적 대칭 vs. 서양 고전 건축의 좌우 동형적 대칭
정형적 법칙에서 순응의 질서로
12 사각형과 모서리 - 도산서원 vs. 뒤랑의 유형학
열린 마당과 틈새의 미학
13 친자연과 낭만주의 - 개심사 진입 공간 vs. 픽처레스크 운동
자연 속으로 들어가 자연의 일부가 되다
14 사선과 긴장감 - 마곡사 대웅보전 vs. 보로미니의 산 카를리노
일상을 깨우는 극적인 순간
3부 건물의 감상법
15 중첩과 관입 - 한옥의 불이 공간 vs. 큐비즘의 다차원 공간
투명의 공간, 겹의 공간
16 프레임과 투시도 - 관촉사 미륵전 vs. 라이날디의 닫집
건축가의 시선이 가리키는 곳
17 주제와 변주 - 신륵사의 앙천성 vs. 아르누보의 유기 선형 장식
하나의 공간 하나의 스토리
18 테마파크와 친숙한 고전 - 계룡산 갑사 vs. 디즈니랜드
현실을 뛰어넘는 카타르시스의 공간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