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의 이해와 이 땅에서 살다간 조상들이 남겨준 우리의 미술문화를 이해하는 ‘눈’을 기르는데 중점을 둔 한국미술사 책이다. 작품에 대한 설명 이외에 각 미술이 만들어진 시대정신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배경의 이해에도 지면을 할애하였다.
목차
들어가면서
1. 원시 미술 (구석기-청동기) 암각화(岩刻畵) 반구대암각화 천전리 암각화 안심리 암각화 고인돌 농경문 청동기
2. 고대 미술 (기원전 1세기-7세기) 무속(巫俗)과 음양(陰陽)사상 고분벽화(古墳壁畵) 고구려 고분 벽화 제1기 고분 제2기 고분 제3기 고분 토우와 상형 토기(象形土器) 공예 불교(佛敎) 불상(佛像)
3. 통일 신라 미술 (668-935) 지상에 건국한 불국토(佛國土) 이상화(理想化)된 부처 불교 미술의 전성기 불교 미술의 쇠퇴
4. 고려 미술 (918-1392) 호족(豪族)과 선종(禪宗) 철불(鐵佛) 대형화한 불상 묘탑(廟塔)과 부도(孚屠) 불화(佛畵) 청자(靑磁)와 나전칠기 고려의 회화 고려의 쇠퇴
5. 조선 미술 (1392-1910) 성리학(性理學)과 민본주의(民本主義) 조선 전기의 미술 사실주의 산수화(山水畵) 안견(安堅) 문인화(文人畵) 강희안(姜希顔) 의궤(儀軌)와 계회도(契會圖) 분청사기(粉靑沙器)와 백자(白磁) 조선 중기의 미술 혼란(混亂)과 은거(隱居) 남종화(南宗畵) 사군자(四君子) 다양한 소재, 다양한 그림 조선 후기의 미술 민중, 조선 후기의 문화의 주도자 성리학의 반성과 예학(禮學)의 구축 조선중화주의(朝鮮中華主義) 진경산수(眞景山水) 풍속화(風俗畵) 초상화(肖像畵) 민화(民畵) 지옥도와 불교 미술 장승과 민속 예술 조선 말기의 미술 신문인화(新文人畵) 신조형(新造形) 미술 전통의 단절과 절충주의
6. 근·현대 미술 (1910- ) 서양 미술의 유입 모더니즘의 미술의 도입과 전개 해방공간의 미술 아카데미즘의 파괴와 앙포르멜 새로운 조형 실험의 추구와 탐색 현실과 발언 표현의 다원화와 탈 장르
참고 서적
서가브라우징
(사상으로 읽는)동아시아의 미술2018 / 한정희, 최경현 지음 / 돌베개
한국 미술잡지의 역사: 미술을 읽다2019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편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1945년 이후 한국 현대미술= Moving reflection, Korean art since 19452020 / 지음: 김영나 / 미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