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게임이론의 소개
1.1 게임상황과 전략적 사고
1.2 게임상황의 몇 가지 사례
2. 게임의 구성요소와 표현방식
2.1 게임의 구성요소
2.2 게임의 전개형 표현
2.3 전략과 게임의 전략형
2.4 합리적(rational)이고 이지적(intelligent)인 경기자
2.5 주지(周知)의 사실(common knowledge)
3. 두 사람간의 적대적 게임(two person zero-sum game)
3.1 안전 제일주의 전략: 최소극대화 전략
3.2 예측불허의 전략: 혼합전략
4. 전략형 게임
4.1 우월성, 열등성의 기준
4.2 합리화가능 전략(rationalizable strategies)
4.3 내쉬균형(Nash equilibrium)
4.4 조정(Coordination)의 문제
5. 상관균형, 완전균형, 적정균형
5.1 상관균형(correlated equilibrium)
5.2 완전균형(perfect equilibrium)
5.3 적정균형(proper equilibrium)
6. 동태적 게임의 분석: 전개형 게임
6.1 상대방의 반응 예측하기 : 역진 귀납법
6.2 행동전략
6.3 행동전략 내쉬균형
6.4 축약된 전략형
6.5 하부게임 완전균형
7. 전략적 행위
7.1 무조건적 공약
7.2 조건부 공약: 신빙성 있는 위협과 약속
7.3 무조건적 행동선언과 위협 및 약속에 신빙성을 부여하는 방법
7.4 신빙성 있는 위협 및 약속과 하부게임 완전균형
8. 반복게임 : 자기구속력이 있는 형벌을 통한 사회적 효율성의 달성
8.1 유한번 반복되는 게임
8.2 무한정 반복되는 게임에서의 자기구속력이 있는 합의
8.3 재협상이 가능한 경우, 자기구속력이 있는 합의
8.4 단순한 형벌과 가장 잔혹한 균형 형벌
9. 협동의 진화
9.1 액셀로드(R. Axelord)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9.2 따면 그대로 있고 잃으면 행동을 바꾸는 전략(win-stay loose-shift): 파블로프 전략
9.3 네가 나의 등을 긁어주면 다른 사람이 네 등을 긁어줄 것이다: 간접적인 호혜주의
10. 신호보내기(Signaling)
10.1 신호의 역할을 하는 학벌(學閥)
10.2 신호보내기 균형
10.3 신호보내기 게임
11. 보험시장에서의 쭉정이 선택과 선별하기
11.1 보험시장 모형
11.2 불균등 정보하의 보험시장 모형
11.3 불균등 정보하에서 보험시장의 균형
11.4 균형존재의 복원: 각 보험회사가 경쟁회사의 반응을 감안하는 경우
11.5 선별하기 게임
12. 불완비 정보와 베이지안 게임
12.1 불완비 정보의 개념
12.2 타입의 개념과 베이지안 게임
12.3 베이지안 내쉬균형
12.4 베이지안 게임의 예
12.5 불완비 정보하의 경매
13. 보다 정밀한 균형 개념
13.1 신빙성이 없는 내쉬균형
13.2 완전균형(perfect equilibrium)
13.3 순차균형(sequential equilibrium)
13.4 완전 베이지안 균형
14. 노동시장에서의 신호보내기와 정밀한 균형개념
14.1 노동시장에서의 신호보내기
14.2 보다 정밀한 균형개념
15. 상대방의 의도 파악하기: 전진 귀납법(forward induction)
15.1 전진 귀납법의 기본 아이디어
15.2 자해(自害)의 가능성과 약 열등전략의 연속 배제
15.3 균형 열등전략의 배제
15.4 균형 비 최적대응전략의 배제
15.5 신호보내기 게임에서의 전진 귀납법의 적용
16. 게임 중 대화와 화렐-그로스만-페리(Farrell-Grossman-Perry) 균형
16.1 경기자들이 균등한 정보를 가진 경우의 대화
16.2 경기자들이 불균등한 정보를 가진 경우의 대화: 말하기 게임
16.3 신호보내기 게임에서의 게임 중 대화
주요 연습문제 해답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