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교라는 커다란 틀 속에서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주목되는 부분은 그간 널리 알져져 있으면서도 풍수의 해석이 결여된 건축물들의 풍수논리를 분석했다는 점이다. 특히 사직단, 환구단, 사고 등의 건축물은 아직까지 풍수에 대한 해석이 시도되지 않았다.
목차
추천사
머리말
01 | 경복궁의 입지환경에 대한 풍수적 논의와 해석
Ⅰ. 조선 최고의 풍수가에 의해 선정된 경복궁 입지
Ⅱ. 경복궁의 건설과 풍수논쟁
Ⅲ. 경복궁의 전통 입지환경
Ⅳ. 경복궁은 가장 합리적 공간을 교태전에 완성하였다
참고문헌
02 | 창덕궁의 역사적 전개와 전통입지 환경
Ⅰ. 전통궁궐의 입지선정은 풍수에 의해 이루어졌다
Ⅱ. 창덕궁 입지의 선정논리와 풍수인식
Ⅲ. 창덕궁 입지의 풍수환경
Ⅳ. 창덕궁의 역사적 전개와 풍수적 공간구성 논리
Ⅴ. 자연과 어우러져 친환경 공간구성을 완성한 창덕궁
참고문헌
03 | 운현궁 입지의 풍수환경
Ⅰ. 운현궁은 당초에 서운관 터였다
Ⅱ. 운현궁의 연혁과 입지환경
Ⅲ. 운현궁 입지의 풍수환경과 문제점
Ⅳ. 서운관 터에 자리한 당초의 운현궁은 ‘잠룡지택’이었다
참고문헌
04 | 남한산성과 행궁입지의 역사와 풍수환경 분석
Ⅰ. 백제의 역사를 간직한 남한산성
Ⅱ. 백제 온조왕이 쌓은 남한산성
Ⅲ. 남한산성과 행궁의 역사와 입지선정 배경
Ⅳ. 남한산성과 행궁의 풍수환경
Ⅴ. 남한산성에서 가장 중추적 특징이 반영된 곳은 행궁이다
참고문헌
05 | 화성행궁 입지의 풍수환경
Ⅰ. 화성행궁은 조선 후기 개혁의 주역 정조에 의해 건설되었다
Ⅱ. 화성과 화성행궁의 건설배경과 환경
Ⅲ. 화성행궁 입지의 풍수환경
Ⅳ. 하늘과 제왕의 땅 화성
참고문헌
06 | 종묘와 사직단, 환구단 입지의 풍수환경
Ⅰ. 좌묘우사의 원칙에 입각한 입지선정
Ⅱ. 종묘와 사직, 환구단의 성립과 입지
Ⅲ. 종묘와 사직, 환구단 입지의 풍수환경 분석
Ⅳ. 국가 대사에 걸맞은 입지선정
참고문헌
07 | 숭의전 입지의 풍수환경과 해석
Ⅰ. 고려 태조의 위패를 모신 숭의전
Ⅱ. 숭의전의 역사적 전개와 입지선정 배경
Ⅲ. 숭의전 입지의 풍수환경과 해석
Ⅳ. 숭의전은 대외 홍보용 건축물이었다
참고문헌
08 | 만동묘의 상수학적 해석
Ⅰ. 송시열에 의해 건설된 만동묘
Ⅱ. 만동묘에 적용된 상수학의 원리와 활용
Ⅲ. 만동묘에 적용된 상수학의 분석
Ⅳ. 사대주의의 극치를 이룬 만동묘
참고문헌
09 | 동관왕묘 입지의 풍수 분석
Ⅰ. 촉한의 명장 관우를 제사 지내는 동관왕묘
Ⅱ. 동관왕묘의 의미와 인식
Ⅲ. 조선 최고의 상지관 박상의의 풍수
Ⅳ. 동관왕묘 입지의 풍수 분석
Ⅴ. 입지선정을 한 풍수가가 밝혀진 동관왕묘
참고문헌
10 | 도산서당의 전통 입지환경
Ⅰ. 퇴계도 풍수를 활용하였다
Ⅱ. 퇴계의 풍수인식과 활용
Ⅲ. 도산서당의 전통 입지환경
Ⅳ. 퇴계의 풍수 실력이 녹아든 도산서당
참고문헌
11 | 소수서원 입지환경과 풍수
Ⅰ. 최초의 서원 소수서원의 풍수
Ⅱ. 소수서원의 입지환경과 풍수인식
Ⅲ. 소수서원 입지의 풍수미학
Ⅳ. 소수서원은 길지확보를 위해 절터를 활용하였다
참고문헌
12 | 밀양관아의 전통입지 환경
Ⅰ. 고을의 중심을 차지한 관아입지
Ⅱ. 밀양의 연혁과 관아
Ⅲ. 밀양관아의 전통 입지환경
Ⅳ. 관아입지는 풍수에 의해 선정되었다
참고문헌
13 | 정족산사고의 입지환경
Ⅰ.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던 사고건축
Ⅱ. 정족산사고의 역사적 사실과 인문환경
Ⅲ. 정족산사고의 입지환경 분석
Ⅳ. 정족산사고도 ‘역수난공’의 장점을 활용하였다
참고문헌
14 | 양평지역 정자입지의 전통환경 분석
Ⅰ. 정자는 자연과 일체가 되고자 하였다
Ⅱ. 정자건축 입지의 이론적 고찰
Ⅲ. 양평지역 정자입지의 사례 분석
Ⅳ. 양평지역 정자입지의 특징 분류
Ⅴ. 정자는 바람과 물 그리고 풍광이 어우러진 입지를 선정
참고문헌
찾아보기